소설의 장르 교섭 : 한국 근대소설 장르 형성과정 논의의 제 문제 / 박상준 (0.5) 소설의 장르 교섭 ; 한국 근대소설 장르 형성과정 논의의 제 문제 = On the Formative Process of the Genre of Modern Korean Novel 박상준 ( Sang Joon Park ) (현대소설연구, Vol.- No.42, [2009]) [KCI등재] 간략보기 원문보기 복사/대출신청 장바구니담기 따라서 1920년대 소설사를 대상으로 한국 근대소설 장르의 형.. from논to문 2014.12.01
근대 소설 형성기 신문연재소설 삽화의 구성 원리 연구 / 공성수 (0.5) 근대 소설 형성기 신문연재소설 삽화의 구성 원리 연구 = The Narrative Theory of the Illustration in the 1910"s Newspaper Novel - focused on the Shinsosul(新小說) of Lee Hae-jo 공성수(Kong, Soung-su)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59 No.-, [2013]) [KCI등재] 간략보기 원문보기 복사/대출신청 장바구니담기 소설 삽화는 근대.. from논to문 2014.12.01
(미적) 거리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529529&cid=41799&categoryId=41800 거리 혹은 미적 거리란 본래 블로흐(E. Bullough)를 중심으로 한 일련의 미학자들에 의해 사용된 용어로, 주체가 대상에 대해 가지는 심리적 거리를 말하는 것이다. 블로흐에 의하면, "심리적 거리란 미적 관조의 대상과 이 대상의 미적.. 그왜 2014.11.29
기녀시조의 미적 거리 구현양상과 그 의미 / 이승연 (0.5) 기녀시조의 미적 거리 구현양상과 그 의미 = Ginyo sijo's realization aspect and meaning of esthetic distance 이승연,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2011] [국내석사] 간략보기 원문보기 복사/대출신청 장바구니담기 미적 거리는 크게 외적 거리와 내적 거리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우선 외적 거리란 외국 .. from논to문 2014.11.29
권환의 대중화론과 매체론적 지평 / 조영복 (0.5) 권환의 대중화론과 매체론적 지평 = The Theory of Arts for the Masses by KwonHwan andThe Horizon of Media Strategy 조영복(Cho Young-Bok) (한국시학연구, Vol.25 No.-, [2009]) [KCI등재] 간략보기 원문보기 복사/대출신청 장바구니담기 매체 운동적 관점은 조직 운동론적 관점이나 계급주의적 문예 운동의 시각이 포.. from논to문 2014.11.28
한무숙 소설의 서술기법 연구 / 임선숙 (0.5) 한무숙 소설의 서술기법 연구 = (A) study on the narrative techniques in Han Moo-Sook's novels 임선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2001] [국내석사] 간략보기 원문보기 복사/대출신청 장바구니담기 p.83 Ⅳ. 고백적 서술자와 여성의식 일인칭 서술은 일인칭 서술자와 존재론적으로 관계101)가 있다. 101) F.K. 스.. from논to문 2014.11.27
김동인 소설의 서술자 연구 / 정연희 (1) - 중개성 관련 김동인 소설의 서술자 연구 정연희, 고려대학교 대학원,[2002] [국내박사] 간략보기 원문보기 복사/대출신청 장바구니담기 김동인이 서술의 매체성에 대해 예민하게 의식했던 작가였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는 어느 정도 의도적인 선택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서술 특징은, 문학을 .. from논to문 2014.11.27
디지털, 테크놀로지, 문화 : 탈현대 시대의 커뮤니케이션 연구 // 한국언론정보학회 엮음 p.38 미디어화와 문화 변동 개인화. 탈영토화. 상호매개성의 도래 >>11월 27일 핸드폰으로 표 찍음 p.43 5. 디지털 미디어화이 논리 : 현재성의 증대, 실재성의 확장 디지털 미디어화에는 몇 가지 흥미로운 논리성이 발견된다. 그 논리 역시 이전의 미디어와 극적인 차이로서 상호작용성을.. 책check 2014.11.27
미디어 철학 // 프랑크 하르트만, 이상엽 강웅경 옮김 <<이 책 목차가 되게 좋은 느낌이네여. 써먹을 말이 있어 보임 p.21 미디어현실의 현상은 이제 더 이상 상징의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경험적 반성대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가 경험이 된다. p.21 '공론장'의 가능 조건이 이제 더 이상 인쇄미디어라는 하나의 주도적 미디어에.. 책check 2014.11.27
공지성(publicity) <미디어 철학> 보다가 나온 개념 p.21 현재의 공지성의 변형, 다시 말해 사회적 커뮤니케이션의 패러다임 변화 전체는.... 찾아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99517&cid=41908&categoryId=41925 공지성의 의의 한 제도의 규칙들이 공지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이 제도에 참여하고 있는 구성원.. 그왜 2014.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