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앱북 디지털 소설의 상호매체성 연구 = A Study on Intermediality of AppBook Digital Novel
- 한혜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2013] [국내석사]
- 간략보기 원문보기 복사/대출신청 장바구니담기
상호매체성 이론은 한젠 뢰베(Hansen-Löve)가 1983년에 ‘예술형식의
변형’이라는 의미로 처음 언급한 이래10), 문자와 이미지와 소리 등을 통합시키
고 있는 디지털 매체 기반의 문화예술 연구의 새로운 방법론으로 부상하고 있
다.11)
상호 매체성은 1980년대부터 유럽의 문예학에서 주목받기 시작한 상호 텍
스트성의 연장이라고 할 수 있다. 상호 매체성의 일반적 정의는 한 텍스트가
다른 예술 텍스트와 맺고 있는 상호 관련성을 말한다. 상호텍스트성은 미하일
바흐친의 대화주의 이론에 뿌리를 두고 있는 것으로 줄리아 크리스테바가 바
흐친을 프랑스에 소개하는 과정에서 대화주의를 텍스트의 문제와 연관시켜 재
해석한 것이다. 바흐친에 의하면 모든 텍스트는 그 자체로 완결된 닫힌 텍스트
의 세계가 아니라, 무수한 텍스트의 흡수이고 그에 의한 변형이다. 상호 텍스
트성에서의 텍스트 개념은 문학적인 텍스트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언어적
으로 한정되지 않은 다매체적인 텍스트도 포함되고 있다. 이러한 면에서 상호
텍스트성은 상호 매체성으로 확장되고 있는 것이다.12)
11) 임정택 외, 「다매체 시대의 문학과 예술 - 상호 매체성의 이론과 실제」, 『기호학 연
구』, vol.9, 2001, p.139.
12) 상호매체성 이론에서 매체가 무엇인가에 대한 개념정리는 매체란 용어의 광범위한 속성
때문에 연구에 있어서 혼동을 가져올 수 있는 문제이다. 때문에 김무규(2003)는 상호매체성
이론을 논의하기에 앞서 매체의 개념을 정리하고 있다. 그의 논의에 따르면 상호매체성 이
론과 관련하여 매체의 정의는 (1)언어 같은 소통의 수단 (2)대중매체로서의 매체 (3)예술형
상호매체성은 상이한 두 매체 혹은 여러 매체가 결합하면서 각 매체의 고
유한 독자적 특성이 어떠한 방식으로 작품에 적용되는지를 밝히는 이론이다.
다양한 매체들에서 연유한 요소들은 그들간의 경계를 허물고 상호의존관계, 상
호보완관계, 침투, 보강, 중첩, 대조 등의 다양한 결과를 산출하는데, 이러한
매체간 상호작용을 통해 매체의 차이가 움직이는 영역인 형식의 과정에서 상
호매체성이 야기하는 변화가 발생한다. 상호매체성은 단순히 하나의 주도적 매
체 형식을 지닌 작품 안에 다른 매체의 형식이 인용된 정도나 빈도수 정도로
논의될 수 없다. 이는 상호매체성이 단지 여러 매체가 더해지는 단순한 피상적
형태를 의미하지 않기 때문이다. 중요한 것은 매체의 만남과 전이의 과정에서
어떤 일이 발생하는지의 문제와 그로 인해 한 작품의 미적 체험을 새롭게 하
는 과정을 규명하는 일이다.13)
뮐러(J. E. Muller)는 상호 매체성을 통합적 상호매체성, 형식적(과매체적)
상호매체성, 변형적 상호 매체성, 존재론적 상호 매체성으로 세분하고 있다.14)
형식적 상호 매체성의 가장 일반적인 경우는 영화에서 많이 보여지며 이와 관
련된 다수의 연구논문이 있다. 존재론적 상호 매체 성은 여러 유형의 상호 매
체성의 전제조건으로, 과매체적 상호 매체성이나 변형적 상호 매체성은 이미
존재론적 상호 매체성을 인정하는 것이 된다. 본고에서 주목하여 보는 것은 서
로 상반적 관계에 위치하면서 디지털 소설 담화를 살펴보는데 주요한 특성으
로 적용되는 통합적 상호 매체성과 변형적 상호 매체성이다. 변형적 상호 매체
성은 재현된 것을 다시 재현한다는 의미에서의 변형을 말하며, 일반적인 의미
의 변형이라기보다 전이 또는 치환된 것이다. 통합적 상호 매체성은 예술형식
의 경계를 뛰어넘어 유토피아적 또는 혁명적 의미에서의 종합예술을 지향하는
것으로, 바그너의 종합예술론 뿐 아니라 예술의 경계를 허물어뜨리는 아방가르
드 예술, 컴퓨터 예술 등에서 보여지는 양상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여러 예
술형식이 모여 하나의 작품을 이루는 통합적 상호 매체성은, 상호 매체성이 재
현과 관계가 있다는 시각의 변형적 상호 매체성과 상반된다.
상호 매체적 텍스트의 변현 과정에서 각 매체가 지니는 특수성을 유지하는
것은 상호 매체성의 개념에서 매우 중요한 것이다. 그렇지 않을 경우 매체 텍
스트가 지니는 특수성이 파괴되어 상호 매체성의 의미를 상실하기 때문이다.
14) J. E. Müller, Intermedialität und Intertextualität, in: W. Schmid/W.D. Stempel (Hg.),
Dialog der Texte, Wien 1983, S. 321ff. 피종호, 「예술형식의 상호 매체성」, 독일문학,
Vol.76, 2000, pp.249-250 참고. 본고에서는 ‘종합적’이란 용어을 ‘통합적’이란 용어로 대
체한다. 이는 매체가 분화에서 통합의 과정으로 나아간다는 의미를 명확히 하기에 ‘통합적
상호 매체성’이 더 적합하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상호매체성(Intermediality) 이론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것은 두 가지 혹은
그 이상의 매체가 상호작용 할 때 각 매체의 독자성을 파괴하지 않고 오히려
특유의 강점을 살려 상호 의존 관계 혹은 상호 보완 관계를 이루는 가운데 다
양한 결과들을 산출하는 것이다(그림3참조).
예술 형식과 장르의 변천사는 매체의 발달이라는 사회학적 의의를 다분히
띠고 있다. 레지 드브레(Regis Debray)의 사회역사적인 비평적 안목으로 매체
의 발달에 따라 아래처럼 ‘매체계(mediasphere)’라는 용어 아래 문자계, 활자
계, 시각계로 사상사의 새로운 시기 구분을 제안하였다.23) 문자계, 활자계, 시
각계는 곧 언어, 출판물, 영화를 가리키기도 하는데 그는 이 세 개의 시기로부
터 사회적인 사유를 위한 함의들을 끌어내고자 한다. 그에 따르면 문자계의 상
징적 권위는 보이지 않는 것에 있고, 활자계의 상징적 권위는 인쇄된 언어에
있으며, 시각계의 상징적 권위는 보이는 것에 있다. 이 세 개의 체제들은 각기
의 고유한 지배적 형식과 양태를 보이며 그 시대의 역사적 성공을 구가하였고
지금은 이 세 시대들을 전부 동시에 함유하고 있다는 그의 관점은 제시형식에
따른 소설의 담화방식 전환에도 적용될 수 있다.
구텐베르크의 인쇄혁명과 텔레비전의 등장이 활자계와 시각계의 출현을 이
끌어 주도적 콘텐츠의 형식을 좌우한 것처럼, 태블릿PC와 스마트폰의 등장으
로 인한 앱북의 등장은 문학에 있어서 활자계와 시각계가 융합된 새로운 매체
계의 출현과 더불어 디지털소설의 새로운 담화방식을 생성한다.
본고에서 변형과 통합의 상호매체성을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하는 것은, 뮐
러(J. E. Müller)의 네 가지로 세분된 상호 매체성 가운데 융합계에서 두드러
지는 상호매체성 양상이 이 두 가지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상호 매체성 이론이
현시점에서 맥락없이 등장한 것이 아니라 바흐친의 대화주의 이론에서 상호텍스트성을 거쳐 발전된 이론이라는 것은 위의 표에서처럼 역사적 흐름과 맥락
을 같이한다. 형식적(과매체적) 상호매체성은 대개 활자계에서 시각계로 재매
개된 양상을 보여주며, 존재론적 상호매체성은 서론에서 언급하였듯이 그 외
영역의 기본전제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융합적 매체예술 혹은 서사형식으로서
의 앱북 디지털 소설에 관한 논의를 위하여 변형과 통합의 상호매체성에 논의
의 초점을 맞추기로 한다.
앱북 디지털 소설에서 변형과 통합의 상호매체성은 각기 플롯에서의 사건을
서술하는데 있어서 의미나 이미지의 중첩과 대조, 형식면에서 플롯 내의 침투
와 플롯 외의 보강의 양상으로 나타난다
들뢰즈는 작품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일관성과 이질성의 개념을 도입한다.
여기서 기준은 평가자가 갖고 있는 어떤 초월적이고 외적인 척도가 아니라 다
양성을 산출하는 이질성이 내적인 일관성, 탈영토성을 획득하는 정도라는 점에
서 작품에 내재적인 것이다. 이런 점에서 들뢰즈와 가타리는 단순한 혼성모방
에 대한 포스트모더니즘의 찬사와 반대되는 지점에 서 있다는 것을 알 수 있
다. 랑시에르에 의하면 현대 예술에 대한 질문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은 모던과
포스트모던의 대립틀 안에서가 아니다. 포스트모던한 것은 근대적인 것에서 표
현할 수 없는 것을 표현 그 자체로 드러내는 것이다. 그것은 좋은 형식이 갖는
위안, 얻을 수 없는 것에 대한 향수를 집단적으로 공유케 하는 취미의 합의를
거부한다. 포스트모던이 새로운 표현을 찾는 것은 표현을 즐기기 위해서가 아
니라, 표현할 수 없는 것에 더 강렬한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서이다.35)
문학의 변화는 대부분 장르의 변화에 의해서 야기된다. 예술가는 여러 기
존 장르의 조건이나 테두리 안에서 창작함으로써 얻는 이점이 큰 것과 마찬가
지로 그런 관습을 깨뜨림으로써 얻는 이점도 크다. 그리고 어떤 장르인지 알
수 없는 새로운 장르를 창출하는 것도 때로 의의를 가진다. 이런 점에서 장르
란 비평가에 의해서 재인식되고 정의되고 이론적으로 분류되기 ‘시작해서’ 예
술가가 혼합하거나 부정함으로써 ‘끝난다’고 볼 수 있다 (Adrian Marino,
Toward a Definition of Literary Genres).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오늘날의 예술 양태는 기술발전
으로 인한 매체의 변화에 따라 더 이상 전통적인 방식으로 우리에게 경험되지
않는다. 각 예술 장르의 경계가 모호해지거나 상호침범하고, 매체가 서로 융합
하는 문화현상과 그러한 방식으로 생산되는 작품들이 역동적인 분위기 가운데
생성되며 체험되고 있다.
'from논to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20년대 미적 근대성과 에크리튀르 "키스" / 전동진 (0.5) (0) | 2014.08.02 |
---|---|
다매체 시대의 문학과 예술 : 상호 매체성의 이론과 실제 / 홍석일 외 (1) (0) | 2014.08.02 |
설화 연행의 텍스트 언어학적 연구 : 구술성의 문제를 중심으로 / 김경섭 (1) (0) | 2014.08.02 |
기호, 담론 그리고 구비문학 -구술성 개념을 중심으로 / 김정경 (1) (0) | 2014.08.02 |
사이버공간에서 글쓰기 행위와 가능성 / 한강희 (1) (0) | 2014.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