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m논to문

판소리계 소설의 구술성과 장르적 속성에 대한 소고 / 이현주 (1)

snachild 2014. 8. 1. 21:52

 

 

판소리계 소설의 구술성과 장르적 속성에 대한 소고 : 경판 「춘향전」을 중심으로 = Consideration on Orality and Genre Traits of Pansori Novel - Focusing on Seoul Block Print
이현주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4 No.1, [2013]) [KCI등재후보]
간략보기 원문보기기관내무료 복사/대출신청 장바구니담기

 

 

II . 구술성과 기술성
구술성은 말을 통한 발화와 관련된다 말은 순간적이고 일회성을 특성으로
하기 때문에 특별한 기억장치 를 펼요로 한다. 운율이나 특이한 모티프의 활용
이 그런 장치에 해당하는데, 그로 인해 정형구의 활용이 중요한 관습으로 자리
잡기도 한다 또한 구술성은 발신자와 수신자가 직접 대 면한다는 조건으로 인
해 일방성을 띠지 않으며 조정을 거칠 수 있다는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상호
교호성 때문에 교감의 폭과 깊이 를 나타내는 감정적인 어사나 말건냄의 어투
가 많이 등장하고 수신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말의 중복도 많이 나타나 이야기
가 장황해진다 이와 같이 구술성은 글이 없었던 시대에 인류가 말로 의사소통
할 때 갖고 있던 심리적인 사고방식이나 인식론적 사유체계, 표현적 특정으로
서 담화적 스타일이나 서사패턴, 그리고 모티프와 같은 주제론적 내용 등을 함
께 아우르는 개념이다.
기술성은 글을 통한 진술방식과 관련되는데, 이는 문자의 발명이후에나 가
능했으므로 구술성이 인간의 언어에 대한 원초적인 감각이라면 기술성은 문자
에 의해 개발된 후천적인 감각과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기술성은 문자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텍스트의 고정성을 확보하고 사고를 재구조화핸 특성
을 지닌다 그리하여 문법의식이 고조되고 통사구조에 대한 감각이 증대되며,
글의 구성이나 문채(文彩) 등에 대한 관심도 많아지게 된다. 이것은 글의 추상
적이고 관념적인 경향을 부추겨 통상적으로 말에 비해 글이 사회적인 가치가
높은 것으로 인식하게 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그러나 언어는 근본적으로 구술에 의존히는 현상이다. 쓰기는 구술되는 말
에 의존하는 것으로 목소리로서의 말의 성격과 결부되어야만 의미를 지닐 수
있다. 다시 밀쾌 구술성 위에서 기술성은 성립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로
트만(1. Lotman)은 쓰기가 ‘ 2차적으로 양식화된 체계’로서 구술되는 말이라고
하는 l 차적 체계에 의존한다고 하였으며 7) , 옹깨alter 1. ong)도 문화의 단계를
전달매체에 따라 구술 · 청각적 단계 • 문자의 단계 • 전파의 단계로 변천해
왔다고 밀F하면서 문자언어는 구술 · 청각적인 언어가 변질된 것이라 하였다 8)

문화의 구술성은 I 차적인 구술성과 2차적인 구술성으로 나누어진다 전자가
기술문명의 영향을 받지 않은 구술성이라면 후자는 기술문명의 영향을 받은
구술성이다. 엄격한 의미에서 오늘날 l 차적인 구술성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2차적인 구술성 속에 l 차적인 구술성이 내포되어 있을 뿐이다. 판소리계 소설
은 판소리라는 구술연행이 기술문화로 수용되는 과정에서 만들어지고 유통된
것이다. 본고에서 다루어지는 경판 「춘향전」 도 2차적인 구술성을 지닌 것이
다. 여기에 내포된 l 차적 구술성을 살펴보면서 구술적인 요소들이 어떻게 기술

문화 속에 투영되어 있는지 검토해보도록 한다.

 

1. 사고와 표현
기록 서사문학은 구비 전통으로부터 출발을 해서 일정 기간 동안 구비 서사
문학의 여러 특정들을 유지한다 9) 구비문학의 이론을 정립하는데 힘쓴 피네건
은 패 리 (M.Parry)와 로드(A. Lord) 의 연구를 토대로 공식구(formulaic phrases)와
상투적 삽화의 사용을 구비문학의 작법원리로 요약하였다 10) 이 를 좀 더 깊이
있게 연구한 옹-{Walter.J. ong)은 구술문화에서 기 억술로 사용되는 공식들을 운
율적인 패 턴, 반복이나 대조1 두운과 유운, 공식적인 수식어나 표현, 표준화된
배경 설정, 상투적인 격언 등으로 간추리고 아울러 구술문화에 바탕을 둔 사고
와 표현의 특성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1 1 ) 첫째, 종속적 이라기보다는 첨가

적이다. 둘째, 분석적이라기보다는 집합적이다. 셋째, 장황하거나 다변적이다
넷째, 보수적이거나 전통적이다 다섯째, 인간의 생활에 밀착된다 여섯째, 논
쟁적인 어조가 강하다. 일곱째, 객관적 거리 유지보다는 감정이입적 혹은 참여
적이다. 여닮째, 항상성이 있다 아홉째, 추상적이라기보다는 상황 의존적이다.

 

 

9) Robert Scholes . Robert Kellogg, 임병권 역서사의 본질J , 예림기획 , 2001 6 면, 22 면 창조

 

김병국구비서시시로 본 판소리 사설의 구성방식 J ,한국학보」 제 8-2 , 일지시, 1982
강등학서사민요의 각편구성의 일띤」, r도남학보 J ^115, 도남학회, 1982
최재남구비적 측띤에서 본 시조의 시적 구성방식 」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

 

 

 

V. 결 론
이상으로 경판 「춘향전」 에 나타난 구술성을 사고와 표현, 플롯, 인물, 시점
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경판이 가지는 장르적 속성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부분창을 위주로 하고, 일탈적 여담을 특정으로 하는 판
소리적 요소가 침투하여 사건의 중심으로 돌진하는 회상법(flashback)으로 사
건이 전개되는 부분이 있으며, 삽화의 흔적도 갖고 있다. 작가의 서술상황에
있어서도 구술연행에서 자주 보이는 시점의 이동현상이 보인다. 작품내부에서
작품외부로 시점이 이동하면서 마치 연행에서 창자가 척중을 눈앞에 두고 현
장적 친화를 시도하는 듯한 작가의 목소리가 나타난다.
판소리 문학의 범주에 속하는 창본과 완판은 경판보다 구술성을 더 많이 지
닌다. 이는 창본과 완판이 판소리를 지향하는 성격이 강한 데 반해 경판은 문
장체 소설을 지향하는 성격이 더 강하여 구술적 요소가 많이 제거되었기 때문
이다. 그러나 구술과 구연으로 판소리계 소설이 유통되던 상황과 구술적 사고
체계가 여전히 존재했던 시기라는 것을 고려하면 경판에도 구술성이 나타날
수밖에 없다 창본, 완판, 경판의 순으로 구술성은 약화된다.
경판의 구술성을 살피는 작업을 통해 기술문화 속에 내재되어 있는 구술전
통을 확인할 수 있었고, 창본과 완판과의 거리도 어느 정도 가늠할 수 있었다
문학의 기원이 글이 아니라 말이었고1 차이가 있을지언정 구술성은 설화와 판
소리는 물론 근대소설과 현대소설에까지 전통의 맥락으로 이어져 오고 있으므
로 구술성과 기술성의 관계에 대한 보다 갚이 있는 인식과 계속적인 고찰은 펼
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