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m논to문

미디어 담론분석을 통해 본 리비아전쟁 / 이봉현, 김성욱 (1)

snachild 2014. 5. 7. 23:41

 

미디어 담론분석을 통해 본 리비아전쟁*:1)
언론에 의한 카다피 악마화 과정을 중심으로
이봉현**2)한겨레 경제연구소 연구위원
김성욱***3)서울여자대학교 언론영상학부 전임강사

 

2. 문헌 조사: 비판적 담론연구
1) 담론연구의 이해
  담론(discourse)은 원래 말하기나 글쓰기를 의미한다. 하지만 뉴스연
구와 관련해 담론은 사회적 실체를 구성하는 서로 연관된 텍스트들과
이들 텍스트를 생산하고 유포하고 받아들이는 행위를 지칭한다(Parker,
1992, Philips & Hardy, 2002에서 재인용). 이기형(2006: 116)은 담론은
“우리가 사물에 대해 갖고 있는 인식과 사물을 파악하고 해독하는 방식
을 구조화하며, 발화될 수 있는 것과 없는 것, 인지될 수 있는 것과 없
는 것을 구분하고 제시”함으로써 세상과 사물에 대한 강력한 해석의 틀
과 체계를 제공한다고 지적한다
.

  담론분석은 담론과 실체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그 전제가
되는 것은 의미는 텍스트 자체를 넘어 좀더 광범위한 요소에 의해 결정
된다는 점을 인식하는 것이다. 백선기(2010)는 텍스트가 중심이 되지만
당사자, 이해관계자, 발화시점, 발화매체, 발화대상자, 발화의 맥락,
발화의 환경 등 주변의 맥락(context)이 텍스트의 의미생성에 역동적으
로 가담한다고 말한다. 즉, 고정되어 있거나 안정된 상태에 있다고 간
주하는 텍스트에 생동감과 역동성을 불어넣는 것이 담론분석이란 것이
다. 하지만 담론은 연구자에 따라 정의가 다르고 담론분석의 방법 또한
정형화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담론분석에서 연구자가 채택하는 방법론
적 개념과 전제를 분명히 하지 않으면 여러 가지 오해와 혼란을 부를
수 있다(강명구ㆍ박상훈, 1997).

 이 연구는 노만 페어클라우 등에 의해 발전되어온 비판적 담론분석의
개념과 이론적 프레임에 기초를 두었다. 페어클라우와 우닥(1997)은 비
판적 담론분석의 이론적, 방법론적 특징을 8가지로 정리했다. 무엇보
다 이 분석의 특징은 권력관계에 초점을 맞춘다는 것이다. 즉 사회적
관행으로서의 담론이 상황 - 제도 - 사회구조와 변증법적으로 구성되고

구성하는 관계를 맺으면서 어떻게 불평등한 권력관계를 생산하고 유지
하는지에 초점을 맞춘다. 이는 특정한 담론의 의미를 사회적 갈등과 지
배구조의 맥락에서 해석하는 것이며, 담론적 실천과 사회적 실천 사이
의 연계에 주목하는 것이다
(백선기, 2005; 신진욱ㆍ이명민,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