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릭터 커스터마이징을 이용한 팹(Fab) 활용 방안 연구 : 디지털피겨 제작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식별된 저자 식별된 저자](http://www.dbpia.co.kr/images/kr/common/icon_man.gif)
캐릭터 커스터마이징을 통해 나만의 캐릭터를 직접 만
질 수 있는 조형 물체로 프린트할 수 있다.
>>헐 3D 프린터 쩐다
<<이거 더 읽을 것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는 2000년 전후로 태어난 초등학생 세
대를 말한다. 그들은 디지털 기기를 자신의 신체나 지각의 연
장선으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강하다. 온라인 게임 속에서 친
구들을 만나 모험을 떠나고 친구들과 휴대전화로 문자 메시지
를 주고받으며 대화한다. 이 세대는 디지털 언어와 장비를 특
정 언어의 원어민처럼 자연스럽게 사용한다.
>>호오.. 내가 과외하는 아동들이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로구만
커스터마이징이란 개인의 취향이나 행동 패턴에 따라 사용 환
경을 설정하고 변경할 수 있도록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말
한다.3)
3) 양정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사용자 맞춤화 연구,
홍익대학교, 2005
커스터마이징은 산업의 발달로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됨에 따
라 요구되어 왔으며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
다. Miroslaw Filiciak 는 포스트모더니즘을 선도하는 사회학
자 지그문트 바우만을 인용하면서 포스트모던 라이프스타일은
우리의 삶이 개인과 사회 결합의 결여 즉 해체로 특색 지어진
다. 포스트모더니즘적인 환경은 자신을 해체하는 경향과 엄
격하게 정의되는 정체성 결여를 추구한다. 오늘날 TV, 영화,
인터넷 등의 매스미디어는 그것이 제시하는 기준에 따라 개인
이 인물을 창조하도록 조장한다. 이러한 배경들은 캐릭터의
다양화와 사용자로 하여금 소비를 부추기는 필수 요소가 되었
다.
>>이런 거 인용하면 좋겠는데? 포스트모더니즘 지그문트 바우만...
Mariti Lahti 는 커스터마이징에 대해 “우리는 신체와 플레이
어의 가상적 대리인을 창조하고 주문 제작 할 수 있는 신체
부위들의 슈퍼마켓에 유혹된다. 여기서 우리의 신체는 사회적
불평등의 맥락에서 따로 떨어져 가체 변형, 또는 변하기 쉬운
상태로 바뀌는 것, 개조 가능한 과제 지향적인 도구, 우리가
가지고 놀 수 있는 장난감으로 미화된다고 하였다.4)
4) Mark J. P. Wolf and Bernard Perron, The Video Game
Theory Reader : ch. 4. Hyperidentities, 2003
>>굳굳
사용자는 미리 운명 지어진 것이 아닌 자기 정체성을 자신이
규정할 수 있도록 자신을 닮은 캐릭터를 창조하고 자기 자신
을 멋지고 강하게 개선 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활용한다.
사용자가 캐릭터에 흥미를 느끼도록 만든 후에 그 흥미를 계
속 유지시키기 위하여 캐릭터를 변화시키고 성장시켜 나간다.
사용자 스스로가 성장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커스터마이
징의 발전상황을 보면 알 수 있으며 다양한 욕구들에 발맞춰
커스터마이징은 중요한 기능을 하게 되었다. 이는 다양함을
추구하면서 규칙성이 강요되지 않는 놀이문화로서 지금의 커
스터마이징이 진화하였다고 할 수 있다.
캐릭터 커스터마이징이란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생성, 추가,
변형, 또는 확장을 하여 그 요구를 충족시켜주는 활동을 의미
한다. 사용자 맞춤(user customization)은 나만의 독창성과 개
성을 살리는 의미로 캐릭터 생성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게
임에서는 이미 게임의 몰입유도를 위한 것으로 캐릭터 커스터
유발하여 만족감을 충족시키고 있다.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에
맞추어 무한대로 조합하여 게임 속의 나를 대신할 캐릭터로
사용한다.
2003년 ‘린든 랩‘사의 가상현실게임인 ’세컨드라이프‘5)가 전
세계적으로 성공한 이후로 게임은 더 이상 단순히 제공된 캐
릭터만으로 플레이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캐릭터를 각자 개
성에 맞게 맞춤형으로 꾸며 성장시키는 방향으로 발전하게 된
다. 세컨드라이프는 이후 개발되는 온라인 게임에 영향을 미
치며 국내에서는 NHN의 ’아이온‘이라는 게임을 통해 캐릭터
커스터마이징이 널리 대중화되기 시작하였으며, 최근 개발되
는 아르고, 완미세계, 베르카닉스, 마비노기 영웅전 등의 게임
에서 더욱 더 발전된 커스텀 시스템을 통해 게임 사용자들에
게 높은 자유도를 제공하고 있다.
캐릭터 커스터마이징은 예전에 우리가 가지고 놀던 인형놀이
와 비슷하다. 종이에 직접 그리고, 오리고 만지며 놀던 종이
인형과 바비, 아바타 캐릭터 인형들에게 옷을 입히고 악세서
리를 바꿔주며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었다. 오늘날에는 2D,
3D 캐릭터들이 가상공간에서 수정, 보완, 추가, 변형하여 즐
길 수 있다. 캐릭터마다 각자 개성적인 매력이 있고 세라샵에
는 유료 아이템으로 다양한 복장, 헤어스타일, 피부색으로 꾸
밀 수 있다.
2003년 T3엔터테인먼트에서 개발되어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
던 ‘클럽오디션’은 캐주얼 댄싱 게임으로 수 천 가지의 캐릭
터를 만들어낼 수 있는 캐릭터 커스터마이징 시스템이다. 기
본 캐릭터 설정 창에 다양한 아이템을 사서 꾸미는 것으로 얼
굴, 머리, 상의, 하의, 신발, 펫 등 유저들의 취향에 따라 고를
수 있는 오디션의 상점이다. 그림 2)
>>커스터마이징은 비디오 게임이나 RPG에만 있었던 거 아님. 이렇게 <오디션>이란 게임에서도..
커뮤니티 중심의 PC온라인게임과 달리 개인적 성향이 강한
콘솔용 게임에서는 캐릭터 커스터마이징이 상대적으로 부각되
지 않는 편이었다. 하지만 기능성게임 분야가 강세를 보이는
닌텐도 위(Wii) 게임기의 미(Mii)에서는 기존 PC게임에서 선
보인 단순한 캐릭터 치장 개념의 커스터마이징과 차별화하여
사용자 자신을 커스텀화 할 수 있는 개념을 도입하였다.
캐릭터 미(Mii)에서는 얼굴 부분을 커스텀하여 사용자 본인이
나 유명인 등의 타인을 캐릭터화하여 만들 수 있고, 이를 게
임에서 등장시키거나 다른 이용자와 공유하고 즐길 수 있다.
간단한 조작으로 만들 수 있는 것부터 유명인을 닮은 셀fp브
리티 미(Celebrity Mii) 등 여러 종류의 미(Mii)로 응용이 가
능하다.
「가든 스테이트」와「스크럽스」주연의 잭 브라프를 만든 데
이브 커리가 커스터마이징하여 셀레브리티 미(Celebrity Mii)
콘테스트에서 우승하였고 수상자에게
>>심지어 이런 게임에도...
<<팹, 피겨 부분은 나와 관계 없어서 건너 뜀
송수현, MMORPG [아이온] 플레이어 유형과 캐릭터
커스터마이징의 관계분석, 홍익대학교, 2009
>>이거 나중에 볼 것
<<<오히려 이 논문이 다른 쪽에서 나온 논문보다 커스터마이징이나 게임 캐릭터에 대해서 더 학문적이고 다양하게 살펴보고 있넹 굳굳 레퍼런스 몇 개 찾음
'from논to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험적 상호주관성과 일상적 타자이해에 대한 비교 고찰 : 후설과 슈츠, 그리고 하이데거를 중심으로 / 최원빈 (0) | 2013.11.06 |
---|---|
MMORPG에서 아바타 커스터마이징의 유저 몰입요인과 충성도에 관한 연구 / 양기현, 백철호 (0) | 2013.11.05 |
아바타 선택의 효과 (Being in the Game: Effects of Avatar Choice) [해외논문] (60/100) (0) | 2013.11.04 |
온라인 게임 캐릭터 커스터마이징의 GUI 디자인 분석 연구 / 김은지, 박수진 (0) | 2013.11.03 |
Advergame에서 아바타 커스터마이징이 미치는 효과 [해외논문] (0) | 2013.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