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m논to문

온라인 게임 캐릭터 커스터마이징의 GUI 디자인 분석 연구 / 김은지, 박수진

snachild 2013. 11. 3. 15:21

 

 

온라인 게임 캐릭터 커스터마이징의 GUI 디자인 분석 연구 

김은지식별된 저자, 박수진식별된 저자
한국멀티미디어학회,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14(2), 2011.2, 307-317 (11 pages)

 

 

게임 캐릭터 커스터마이징 인터페이스

>>에 대한 연구인듯 

    가이드라인 제시.

 

 

유저 스스로 다른 캐릭터와는 다르게 보이고 싶어 하는 욕망

 

게임의 수익을... 캐릭터 커스터마이징 기능을 통해 얻기도 [2]

>>김종진, 지니의 3ds Max .. ,이비컴, 서울, 2004.

 

선행된 연구

MMORPG의 플레이어 유형을 분석하여 구분된 유형들이 캐릭터 커스터마이징에 차이를 보이는가에 관한 연구와 사용자의 차별성 있는 캐릭터를 만들어내는 새로운 캐릭터 생성시스템 환경에 관한 연구

 

 

캐릭터 커스터마이징을 지원하는 온라인게임 16개를 토대로 실시

 

커스터마이징의 흐름

 

 

 

 

>>이거 다.. 확인하려므나^-^

 

 

 

2.1 커스터마이징의 개념

 

알란 쿠퍼는 개인화에 대해 유저가 워너하는 요소를 움직이거나 숨길 수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제이콥 닐슨은 조금 더 나아가 '개인화'라는 것과 '맞춤화'라는 것으 ㅣ의미에 대해 차이와 정의를 내렸다. [4]

 

[4] 양정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사용자 맞춤화 연구, 2005.

 

 

사용자 개인의 욕구에 맞춰 변환하게 하는 능동적인 행위가 필요한 시스템

 

 

온라인 게임의 유저의 캐릭터는 게임 회사가 만든 그래픽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유저 '나'의 연장이 되고 다른 유저는 '타인'의 연장이 된다.

 

게임공간을 탐색하고 게임 속에 있다고 느끼는 현장감을 느끼는 과정과 자신의 캐릭터를 장기간 성장시켜 나가는 과정, 그리고 캐릭터를 통한 다른 사용자와의 동시적 커뮤니케이션에 의해 만들어진다.

 

 

개인의 독창성과 개성을 살리는 의미로서는 캐릭터 생성 시스템

 

 

 

 

>>이렇게 보니 마비노기가 정말 세분화 갑이긴 하다ㅋㅋ 음식물 섭취까지..

 

 

 

3.1 신체요소

3.1.1 얼굴

3.1.2 몸

 

3.2 신체 외 요소

3.2.1 의상 및 방어구

3.2.2 기타

 

 

<<아 이 연구는 실제로 아바타 만들 때 선택하고 돌리고 그런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구로구나. 통계적인..

<<이미지 시각화가 좋네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