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m논to문

동물 만화영상의 풍자적 표현 연구 / 이화자

snachild 2013. 10. 29. 11:39

 

동물 만화영상의 풍자적 표현 연구 = A Study on Satirical expression of Animal Cartoon & Animated Cartoon
이화자(Lee Hwa-Ja)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8, [2005]) [KCI등재,KCI등재]
간략보기 원문보기기관내무료 복사/대출신청 장바구니담기

 

<<앗 이분 박사논문으로 그걸 쓰신 그분인듯

 

 

 

 풍자적 내용을 표현하는 예술사에 동물 테마는 인간 문명 역사의 시작부터 현재까지 늘 함께 진행되어 왔기 때문에 인간의 예술 작품과 매체에 동물이 빠진 적은 없다. 그 표현 유형도 다양하게 전개되어 고대 벽화, 우화, 민담 설화, 전래 동화, 문학, 그림 등에서 보여지는 사례는 헤아릴 수 없이 풍부하다. 그리고 만화영상에서 동물의 등장은 앞선 장르들보다 한층 더 세련되고 진솔한 표현적 완성도를 보여주고 있다.

 

>>만화 영상이라고 해서(매체/장르의 차이에 따라) 앞선 장르보다 세련되고 진솔한 표현적 완성도를 보여준다는 근거는?

 

그리고 현대에 와서는 커뮤니케이션 산업디자인 요소로서 동물은 아주 중요한 소재 및 주제가 되었다. 예를 들어 월트 디즈니(Walt Disney)의 미키마우스를 20세기 사람들이 가장 많이 보았고 가장 많이 사용했던 이미지라고 하는 데는 약간의 과장은 있으나 틀린 말은 아니다. 

  이처럼 동물 소재를 예술화, 시각화 작업 속에 적극적으로 포함시키고 개발하고 하는 '풍자성'의 이유는 동무로가 인간의 삶은 밀접하며 매우 닮아 있기 때문이다. 인간이 인간답지 못한 행위를 하게 되면 사람들은 인간을 동물만도 못한 것으로 취급하게 된다. 그러므로 실제 동물 같은 인간, 또한 동물만도 못한 인간이 있어 사람들은 동물을 인간이상으로 형상화하여 인간 같은 동물도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 이렇게 인간 사회에서 인간의 상상력은 동물과 인간의 이질성을 뛰어넘어 동질성을 찾게 되었다. 동물에 인간적인 감정을 이입시켜 행동하게 함으로 동물풍자 캐릭터의 성립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그 창작물들에서 우리가 깨닫는 것은 동물들의 세계로 표현되고 있지만 사람을 동물로 바꾸어 놓았을 뿐이지, 그 의도하는 바는 실제로즌 인간 사회 교화에 대한 예리한 풍자성이라는 사실이다.

 풍자(Satire)란 부정적 사회나 개인의 악덕, 모순, 어리석음, 결점 따위를 비웃음, 조롱, 익살스런 모방, 반어법 등으로 비난하거나 개선하기 위한 의도로 쓰이는 예술의 형식이다. 풍자에 담겨있는 비웃음과 냉소의 희극적 요소는 대상의 부조리를 무리 없이 비판하고 꼬집을 수 있는 요소로 작용하며 심각한 자극을 쉽게 극복하도록 하는 자정의 수단이 된다. 따라서 풍자적 표현은 직설적으로 말하지 않고도 대상의 부조리한 상황을 표출하고 고발하는 방법으로 매우 효과적이며, 우회적이나 강력한 호소력을 지니게 된다.

 만화영상의 내용적 핵심이 일직이 풍자에 있음을 알았던, 모리스 혼(Maurice Horn)은 그가 편찬한 「만화백과사전」(The World Encyclopedia of Cartoons)에서 만화를 "특수하거나 유별난 성격이 우습고 괴기하게 강조된 인물의 그림. 설명이나 이야기가 따르고 한 컷에 정치적. 풍자적. 해학적 의도가 담겨 있는 그림"이라고 사전적 정의를 내렸었다.

 

>>이 정의도 바뀌어 갔겠져

 

그리고 일본 만화영상의 대부인 데츠카 오사무(Osamu Tezuka)도 "만화는 어디까지나 아이러니와 풍자, 경고, 비판이 없으면 안 된다. 그것이 없는 것은 그냥 그림이지 만화가 아니다."라고 말해 만화영상의 풍자성을 강조했었다.

 

 

 

 

자연을 충실하게 묘사하려는 자연주의적 경향이 다양화, 또는 이상화 된, 표현의 형식주의가 등장하게 되었다. 이는 사물의 이념 내지는 본질을 포착하려고 대상의 묘사보다는 상징의 창조에 관심이 많아져 그림이 점차 도상 기호화되어짐을 의미한다.

 

 

 

2. 동물 묘사의 문학적 유형

 

동물을 소재로 만들어진 속담은 우리에게 더욱 강한 인상을 남기고, 비유와 풍자를 통해 간접적. 우회적인 교화까지도 가능하게 한다.

 

 이야기들 속에 등장하는 동물들은 모두 인간 사회의 변형된 모습이다.

 

 인간의 정황을 인간 이외의 동물, 신, 또는 사물들 사이에 생기는 일로 꾸며서 말하는 짧은 이야기로서 비교적 쉽게 파악되는 도덕적 교훈이 있는 글을 우화라고 한다. 동물을 주인공으로 하는 우화는 기원적 6세기 그리스의 노예 이솝에 의해 쓰여진 이솝우화가 대표적이다.

 

어떤 이야기를 우화로 표현하는 이유는 누구나 이해하기 쉽고 가볍게 읽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에 있다. 그러나 우화의 본질은 인간의 어리석음과 추악함을 지적하는 것으로서 당면한 체제의 비판에 있다. 그러므로 인간을 직접 등장시켰을 때의 위험을 살짝 비켜나가면서도 인간보다 어리석은 존재로서의 동물을 간접적으로 비판할 수 있는 것이다.

 

조지 오웰의 <동물 농장>은 인간의 자유를 억압하는 정치 체제의 문제와 겉으로만 평화를 부르짖는 권력자들의 허상을  .... 공산주의 독재 정치를 돼지로 표현하며 신랄하게 풍자하고 있다.

 

 동물 풍자는 퇴폐한 시기나 언론이 억압당하기 쉬운 시기에 걸작이 나오는 경우가 ㅁ낳으며, 이로 인하여 정치나 세상 돌아가는 방향을 부조리에서 건전한 쪽으로 돌리는 효과로 기대할 수 있다.

 

 

 

 

 3. 구조적 상징 표현

 구조적 상징은 작품을 구성하는 제 요소들 사이의 내적 관계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상징이다. 이 상징은 문맥적 상징 또는 내면적 상징이라고도 부른다.

 개인적 상징은 개인의 심리적 특성을 외부세계와 연결시키는 상징이다. 곧 시인의 독창적인 표현 습관과 의식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상징이다.

 

 <쥐>

 

 현대에 올수록 개인적 상징을 만들어내는 경향이 짙다.

 

 

 

 

 

<<<이 논문 선행 연구사 정리에 꼭 넣어야 겠는 걸? 다양하게 다뤘음. 생각해 줄 수 있게 하는 여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