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8년도 판
p.19
언어는 감정을 불러일으키며 사람들 사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가장 일반적인 수단이기도 합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심리 치료에 있어서의 언어 사용을 평가 절하해서는 안 되고 분석가와 그의 환자 사이에 오고 가는 말들을 들을 수 있는 청취자가 될 수 있는 것만으로도 만족해야만 합니다.
정신분석적 치료 과정 - 방청자 허용 X
왜냐하면 이러한 이야기들이란 환자의 정신 생활의 가장 내밀한 부분과 관련되기 때문이며, 그가 사회적으로 독립적인 개인으로 살아가기 위해선느 남들 앞에 감추어야만 하는 모든 것을 포함하고 있고 나아가서는 통일적이고 조화로운 인격체로서 자기 자신에게조차 고백하고 싶지 않은 그런 내용들과 관련을 갖고 있기 때문입니다
p.27
문화의 창달을 위해 사용된 본능적 힏믈 가운데에서 성충동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성적 욕망들은 그 과정 속에서 승화됩니다. 다시 말하면 본래의 성적인 목표에서 다른 방향으로 돌려져서 더 이상 성적인 특성을 갖고 있지 않은, 사회적으로 더욱 고상한 측면으로 향하게 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너무나도 불안정하고 성충동은 그저 약하게 통제될 뿐입니다. 문화적인 활동에 참가하려고 하는 개개인들에게는 본능 충동을 이렇게 사용하기를 거부하려는 위험이 항상 존재하고 있습니다. 사회는 성적 충동이 해방되고 그것이 원래의 목표로 회귀하려는 경향성이 강화될 때 빚어지는 위험을 자신의 문화에 대한 가장 무서운 위협으로 간주합니다.
-문명과 본능적인 힘의 대립에 관해서는 프로이트의 <문명 속의 불만> 참조
p.133
꿈은 자극을 단순히 재생시키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가공하고 넌지시 암시해주고, 어떤 관련성 속에 배치시키고 또 그것을 다른 것으로 대치시키기도 합니다.
p.159
꿈-요소에 대한 견해는 그것이 본래적인 것이 아니고, 실수 행위 경우에서의 실수를 하게 만드는 경향성처럼 꿈꾸는 이에게는 알려져 있지 않은 어떤 다른 것의 대체물, 꿈꾸는 이도 그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는 있지만 그로서는 알 수 없는 그 어떤 다른 것의 대체물이라는 것입니다.
p.160
개개의 꿈-요소에 대한 우리의 견해를 전체에 확대시켜 보면, 꿈이 그 전체에 있어서 무언가 다른 것, 무의식적인 것의 왜곡된 대체물이라는 사실이 드러납니다. 그리하여 꿈-해석의 과제는 이러한 무의식적인 것을 찾아내는 일이 되는 것입니다.
p.185
어린이-꿈에 관한 연구 성과
꿈-기능은 잠의 수호자, 두 개의 서로 경쟁하는 경향으로부터 꿈이 생성된다는 것, 그중 하나는 언제나 똑같은 것으로서 잠의 욕구이고 다른 하나는 심리적인 자극을 만족시키려고 한다는 것, 꿈은 의미심장한 심리적 행위라는 사실에 대한 증명, 꿈의 두 가지 주요 성격은 소원 성취와 환각적인 체험이라는 것
잠이란, 그 속에 있을 때는 자아가 외부 세계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알려고 하지 않는, 외부에 대한 자아의 관심을 온전히 거두어들인 그러한 상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때때로 이 세상에 태어나기 이전의 상태로, 즉 어머니 자궁 속의 존재로 돌아가는 것입니다.
새우잠을 자는 모습
그것은 마치도 이 세계가 우리 같은 성인들의 2/3 가량만을 소유하는 것과도 같습니다. 우리들 시간의 1/3 만큼의 시간 동안 우리는 아직 태어나지 않은 것입니다.
정신 활동의 잔류물 = 꿈
========
(하)
억압은 퇴행에 포함되는 하위의 개념 p.487
'책chec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로운 글쓰기와 문학의 진정성 // 김병익 비평집 (0) | 2013.09.18 |
---|---|
만화의 미래 // 스콧 맥클루드, 김낙호 외 옮김 (0) | 2013.07.12 |
The semiotics of discourse // Jacques Fontanille (0) | 2013.06.01 |
러시아 기호학의 이해 // 로트만 우스펜스키 리하초프, 이인영 (0) | 2013.05.27 |
컨트롤된 카오스 // 노르베르트 볼츠 (0) | 2013.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