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check

Digital Storytelling, Mediatized Stories // Knut Lundby, Editor

snachild 2014. 12. 18. 17:25

 

 

디지털 스토리텔링, 매개화된 이야기

 

<<전통 서사학 계열이라기 보다는 약간 매체 쪽. 워크숍이나 교육 적용 등 실질적인 이야기도 있음

<<Knut가 편집자이고 여러 사람들 논문 모아놨음

 

 

 

p.1

 

 서론 : 디지털 스토리텔링, 매개화된 이야기

 

 이 책은 스토리텔링에 대한 age-old practices를 새로운 디지털 미디어에도 적용 가능하게 변형하는 것을 이해하는 데 있다. (그렇게 해서 결과적으로 나온) 디지털 스토리는 "mediatized strories'라고 명명할 수 있다.

 

 디지털 스토리텔링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proliferating). 아마추어 개인적인 이야기, "나"에게 초점을 맞춘, 그런 이야기들이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에 범람하고 있다. (웹과 디지털 스토리텔링 워크숍에서도..) 이 책은 새로운 미디어의 그러한 자기-재현적 스토리(self-representational)를 다루고 있다.

 

미디어 연구, 교육 과학, 서술(narration)에 대한 미학적이고 문학적인 관점들...

 

 

 

 Small-scale stories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형식 - 영화의 비주얼 이펙트나,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등이 있지만..

 

 p.2

 

 이 책은, 스몰 스케일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주로 다룸.

 Kelly McWilliam이 그녀의 챕터에서 'specific Digital Storytelling'이라고 부른. 

 그것들은 미디어 형식으로서 스몰-스케일임

 보통은 짧고, 몇 분 길이.

 

 

 

p.3

 

 "스토리텔링"은 내포한다. 스토리를 shaping하는 것 뿐만 아니라 그 이후 다른 사람들과 옹유하는 것 까지.

 인터넷이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space를 확장시켰다.

 

 짧은 개인적 스토리를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

 

 월드 와이드 웹은 새로운 형식을 주었다 : 블로깅,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 짧은 개인적 이야기를 공유할 수 있게 하는

 뉴 미디어 practices는 사람 대 사람 간에 가르쳐지고 배워진다.

 자기-재현적 짧은 비디오... 유튜브.

 'personal media practices' (Luders, 2007)

 

  Nick Couldry는 챕터 3에서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공간을 정의한다. "개인적인 스토리의 전반적인 범위가 잠재적으로 공공적인 형식으로 말하여진다.

 

 

 

 

p.5

 

 자기-재현 Self-representatons

 

 자기 재현적인 디지털 스토리 < 이 책의 초점

 이러한 것들은 개인적인 스토리로, 이야기꾼의 고유한 목소리를 통해 말하여진다. 1인칭으로 표상된다. '자기'는 사회적으로, 관계성 속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스토리를 통해서 우리는 우리가 누구인지를 말한다.

 

 (학자) (학자) (학자) 그들은 개인적인 스토리가 정체성을 구성한다고 말한다. 디지털 스토리텔링은 'crafting an agentive self'에 관한 것이다 (Hull & Katz, 2006)

 

 단편 형식의 개인적인 디지털 스토리 a short, personal digital story

 

  자기-재현적인 스토리는 진실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챕터 6에서 이러한 진실함에 대한...

 서술자의 자서전(autobiography)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디지털 스토리텔링은 진실하거나 진솔한 활동으로 여겨진다.

 내러티브와 유희하는 것은 정체성을 유희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디지털 서술의 결과는 다양한 형식을 지닐 수 있다. 사용자의 개인적인 리소스와 그들이 적용하는 소프트웨어의 어포던스에 따라서. (챕터 9)

 

 

p.6

 

 Nyboe와 Drotner는 문화적 정체성의 미학적 차원을 디지털 서술 과정의 핵심으로 보았다. 그들은 문화적 정체성에 관한 현재의 이론을 재규명하고 디지털 모드의 관점에서 문화적 생산을 재규명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Digital narratives

 

 (챕터 15) .. 매체 이야기..

 디지털 미디어의 특성은 디지털 스토리와 스토리텔링 관습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기술적인 이슈들을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부분으로 강조하는 것은 중요하다.

 

 디지털 미디어... 개인의 '나의' 이야기 하는 것에서 협업적, 공동 창작으로..

 

 담론적으로 배열된 영역 discursively ordered domains

 

 

 

p.7

 

Challenging Institution

 

디지털 스토리는 개인적으로, 작은-규모의small-scale 이야기이다.

 

 디지털 스토리텔링은 agency(차이를 만들어 낼 수 있는 능력)을 육성하는 도구가 될 수 있다.

 - 이 부분은 학교 이야기.. 학교 적용 교육 적용. 말 그대로 교육기관과 관련된 변화

 

 

p.8

 

 Multimodality - semiotic transformations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생산에 있어 .. 뉴 미디어의 능력은 digitalisation에 의하여 제공되는 멀티모달리티이다.

 구술적인 스토리텔링에서도 테일, 발라드, 멜로디와 텍스트..

 멀티모달리티는 전혀 디지털이 아니다. 그러느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통해 멀티 모달리티는 보다 쉽고, 일상적이고, 자연적이고 되었다. Kress, 2003, p.5

 

<<리딩 이미지 이야기 나오는 것 같은데? 기호학적 선택... 근데 리딩 이미지가 기호학적 배경이었던가 흐음

 

 

 

p.9

 

Narrative transformations

 

우리 시대의 문화적 변형을, 현대의 디지털 내러티브 부분이 하고 있다

 

Friedlander는 디지털 내러티브를 ; 변형의 법칙이 작은 단위의 개인적 디지털 스토리에 적용된 것으로 본다

 

각개의 요소 - 공간, 시간, 물체, 존재, 행동ㅡ 선택되고, 배열되고, 변형된다. 미학적 경험의 필요에 의해서. (p.10) 생각은 가시화되고,물체는 다중변형된다. 감정적이고 미학적인 규칙에 따라서. 배경 요소들은(바닥이나 하늘) 갑작스럽게 상징적 의미들과 커뮤니케이션한다.

 

 

 

 

 

p.105

 

 매개화된 일상(Mediatized lives)

 디지털 스토리텔링에 있어 자서전과 가정된 진실성

 

 Birgit Hertzberg Kaare and Knut Lundby

 

 서론

 

 디지털 자기-재현적 내러티브는 개인적인 라이프 경험과 서술의 전통 모두에게 있어서 창의적인 responses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그들은 내러티브 구축, 개인적 레벨에서도 socio-cultural 레벨에서도. (Hoover, 2006, chapter 4) 디지털 내러티브와 디지털 스토리텔링에는 다양한 장르와 형식이 있다. 두 가지 중요한 특성, 디지털 자기-재현적 내러티브의 다양한 형식에 의하여 공유되는 것은, 표현의 진실한 형식으로 여겨진다. 그리고 스토리의 내용이 서술자의 자서전에 기반하고 있을 것이라는 기대. 이 챕터는 가정되는 진실성과 자서전의 관계 (디지털 스토리텔링에서의)을 탐색한다. 그러나 디지털 내러티브의 다른 장르의 연구 또한 관련 있다.. 디지털 내러티브와 자기-재현성

 

 

p.106

 

 사람들은 짧고, 자기-재현적인 스토리를 이야기한다.

 디지털 스토리텔링은 대부분의 포맷에서, 활동이다. 이야기꾼의 생활로부터 뽑아낸 이벤트를 기반으로 하고 있는... 내러티브 활동 서술자를 날 것의 재료로 삼는.

 

 

 

p.107

 

이론적인 관점

 

 - 미디어화

 

 p.108

 

 - 자서전

 

p.109

 

 -진실함

 

p.110

 

 디지털 스토리는 우리가 '진실하다'라고 인식되는 중개화된 정체성의 발현을 통해 표현된다.

 철학자 찰스 테일러.. '진실성의 원천' (Taylor, 1991) 19세기 생활과 삶의 진실함을 추구하고 표현하는 것은 엘리트.. 그러나, 이러한 self-orientation... 표현적인 개인주의

 

 

 

 

p.161

 

Identity, aesthetics, and digital narration

 

 Lotte Nyboe and Kirsten Drotner

 

 서론

 

 디지털 서술은 일상 생활의 일부. 사용자-생성 콘텐츠 창작.

 디지털 서술은 사용자의 개인적인 리소스와 사용되는 소프트웨어의 어포던스에 의존하고 있음.

 

 학자들은 두 가지 이론적 담론을 제시 : 문화적 정체성에 관한 담론 / 창의성에 관한 담론

 

 p.162

 

 둘다 해석학적 전통에 기반을 두고 있음.

 특정한 socio-cultural practices로서의 사용자의 참여. 의미-생성

 

 

 

 

 

 

<<난 이 책이나 꼼꼼히 읽을 것이지 그간 뭐했냐..

<<11월 30일날 업로드했던 것 지우고 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