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m논to문

자서전 <백범일지>의 문화적 수용과 창작 / 윤유석 (1)

snachild 2014. 11. 16. 16:32

 

자서전 『백범일지』의 문화적 수용과 창작 = Cultural consumption and creation of an autobiography of Kim Koo, Paikbum Ilji
윤유석(Yun Yu-Seok) (인문콘텐츠, Vol.14 No.-, [2009]) [KCI등재]
간략보기 원문보기기관내무료 복사/대출신청 장바구니담기

 

 

<<인문콘텐츠학회당 방가방가

 

문화과학 이론을 주장한 에른스트 카시러는 하나의 작품이 창조의 결과물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자신의 삶에 내적으로 연관시켜 이 작품을 다시 활성화시키는 존재, 즉 작품을 받아들이는 다른 주관인 '너'가 있어야 인간이 창조해 낸 모든 문화적 삶이 의미를 지닌다고 말한다.6) 그에에게 있어 문화적 삶의 과정이란 문화를 창조하는 '나'와 그를 상대하는 '너'가 있음으로써 존재하는 이중의 성격을 지닌다.7) .. 예술가, 과학자, 종교 창시자 등 문화를 창조하고 표현하는 '나'와 함께 그것을 수용하고 이해하는 '너'가 있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하나의 업적이나 작품은 나와 너를 연결하는 매개체이고 상호관계를 통해 존재하기 때문에 작품의 내용은 끊임없이 새롭게 되새겨지고 재창조됨으로써 우리에게 존재한다고 말한다.

 문화과학에서의 이러한 주장은 작품의 서사가 독서에 의해 완성된다는 후기구조주의 이론과 일맥상통한다. 후기구조주의에 의하면 서사는 독서에 의해 완성된다. ... 스토리가 모든 것을 다 말할 수 없는 한 텍스트가 남긴 흔적을 독자가 메우면서 서사를 완성하기 때문이다.8) 서사가 작가의 글쓰기뿐만 아니라 독자의 글읽기를 통해 완성된다는 주장은 독자에 의한 텍스트의 생성을 의미하며 나아가서는 새로운 글쓰기를 의미한다. 즉 하나의 서사가 독자들에 의해 다르게 읽힐 뿐 아니라 다르게 쓰여진다는 것이다.9)

 

 6) Ernst Cassirer, 박완규 역, Zur Logik der Kulturwissenchaften, 문화과학의 논리, 길, 2007, 265쪽.

 7) 위의 책, 266-267쪽

 

 >>이런 독일어권 저작 번역해주는 님들 정말 감사요ㅠㅠㅠㅠㅠㅠㅠㅠ 영어는 어떻게 사전이라도 찾아가며 읽지 이런 책이 번역도 안되어 있음 노답임 진짜ㅠㅠ

 

 8) Patrick O'Neil, 이호 역, Fictions of Discourse : Reading Narrative Theory, 담화의 허구, 예림기획, 2004, 26-27쪽. 그런 의미에서 .. 후기구조주의자들은 독서를 독자, 작가, 텍스트 사이에서 벌어지는 술래잡기 놀이라고 보았다. 이는 글쓰기, 글읽기, 텍스트가 놀이 활동과 같다는 텍스트 유희주의(textual ludism)라는 후기구조주의 이론의 하나로 발전하게 된다. 같은 책, 45-46쪽.

 

 >>텍스트 유희주의???? 오 있어보여

 

 9) 김희영, 롤랑 바르트의 텍스트론과 그 실천, 한국불어불문학회, 불어불문학연구, 제23권(제23호), 1988, 111-112쪽.

 

 

 개인의 삶에서 역사를 보려는 딜타이의 정신과학 이론 .... 개별적인 개인은 역사적인 본질이며 개인에 대한 경험의 관점에서 과거사를 고찰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에게 있어 개인은 역사의 원세포이며 역사와 관련된 환경 속에서 개인의 삶의 과정이 구성된다. 12)

 

 12) 양해림, 딜타이에게 있어서 개인, 사회, 그리고 상호작용의 변증법, 철학연구회, 철학연구 제 44권, 1999, 291쪽.

 13) 양해림, 후설의 생활세계와 딜타이의 살므이 경험, 철학연구회, 철학연구 제 50권, 2000, 150쪽

 

 자서전은 사회적-역사적 현실을 글로 추상화함으로써 개인은 하나의 개체로서 정신과학 연구의 대상이 되고, 역사와 사회 속에서 무엇을 원하고, 느끼고, 사고하고, 판단하였는가와 같은 정신적인 부분을 개이느이 관점에서 직접적으로 드러낸다.

 

 딜타이.. 추체험

 정신적 삶의 총체성을 이해.. 그때 작동하는 최고의 방식이 모방 혹은 추체험 24)

 

 24) 딜타이, 앞의 책, 54-55쪽.

 

 

글쓰기의 실천이 있어야지 텍스트론이 성립 33)

 

33) 롤랑 바르뜨, 김희영 역, 텍스트의 즐거움, 동문선, 1997, 44-45쪽.

 

 

서사학 이론에 따르면 현대 서사학 이론의 토대가 되는 기초적인 층위 구분은 스토리와 담화 두 층위이다. .. 실제로 무슨 일이 일어났는가(서사의 내용) / 실제로 일어난 일을 어떻게 이야기하는가(서사의 표현) .. 서사 담화의 과제는 이야기를 시작하려는 스토리를 구성할, 다양한 사건들과 사건 당사자들을 선별하여 배열하는 것에 있다. 주지하는 바, 문학 장르의 스토리는 인물, 사건, 배경의 3가지 요소로 구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