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m논to문

William Styron 연구 : 고백체 구조의 양태분석 / 廉景淑(염경숙?) (1)

snachild 2014. 10. 5. 13:50


Wiliam Styron 硏究:고백체 구조의 樣態분석 = The Confessional Mode in the Novels of Wiliam Styron
廉景淑, 淑明女子大學校 淑明女子大學校,[1989] [국내박사]
간략보기 원문보기 복사/대출신청 장바구니담기


사회적, 역사적으로 중요한 소재, 혹은 자전적인 사실들을 극화하는 것은 바로 우리 주변의 진실을 신빙성 있게 전한다는 작가의식을 구체화한 한 방법이었다고 할 수 있다.


Styron은 외적인 역사적 사실뿐 만이 아니라 자전적인 체험 역시 작품의 소재로 삼고 있다. 그가 창조한 인물들이 자기의 일부를 투사시킨 결과이므로 작중인물들은 자신의 화신임을 자인하고 있고, 이러한 의식을 뒷받침하듯 그의 작품에는 자전적인 요소가 부각되고 있다.


 실제 체험담


작품의 서술관점의 변화

 일인칭 서술을 ... 후기 두 작품에서는 적극적으로 활용 ... 그 중요한 동기는 사실의 직접 토로가 설득력을 획득하는 데에 적합하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Styron의 의식이나 주제를 활성화시키는 방향으로 고백체 구조라는 개념이 마련되었다.

 


 본 논문이 채택하고 있는 고백체 구조의 개념 연구는 Styron의 작가의식과 작품의 주제를 활성화 시키는 동시에 위에서 제기된 제 문제점들에 대한 하나의 해결안을 모색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errence Doody의 Confession and Community in the Novel로서, 그는 고백체 문학의 주인공들이 자신의 내면세계를 돌이켜 봄으로써 자기인식에 이를 수 있다는 원리를 인정하면서도, 이에 못지않게 중요한 양상은 고백자와 청자사이에 형성되는 인간적인 관계임을 밝히고 있다. 즉 고해자는 자신의 고통을 피력하는 가운데 상대방의 동조를 강력히 요구하기 되며, 자기정의(self-definition)가 수용될 수 있도록 노력한다는 것이다. ... "고해자와 청자"의 관계로 조명할 수 있다. ...작가 Styron과 독자 간에 이 관계가 설정될 수 있다. 주인공의 고해 결과가 바로 그가 삶에 대한 새로운 인식에 도달할 수 있는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므로 이를 양자가 함께 연결되어 논의될 때 비로소 작품의 진가가 파악될 수 있다.

 

 후기 작품.. 작가의 목소리가 작품에 강하게 침투, 반영되어져 그가 고해하고 독자는 그것을 들어주는 청자 역할을 하도록 고해행위의 범위가 확산되기도 한다. 이 점에서 Doody는 고백체 작품 속에 고백의 주체인 주인공, 더 나아가서는 그 저자가 지니고 있는 의도적 진술의 측면을 중시하고 있다. Doody는 고백체 작품에는 고해자의 의도적 진술성이 내재되어 있음을, "...(영어 인용)..." ..라고 표현하고 있다. 


>>두디 책 14



"고해자와 청자" 사이의 관계


 

Ⅱ. 고백체 구조의 개념


>> 고백 원래 신적인.. 그러나 신 죽음..


 신의 계시가 제시되지 않는 상황에서 인간의 고통을 경감시켜 줄 공통의 해결법은 주어지지 않으므로, 소위 부조리의 현실에 직면한 현대인은 자신의 고통에서 벗어나는 방편으로 독자적인 자기인식을 추구하게 된 것이다. 현대의 고백체 소설은 바로 이러한 자아인식의 추구를 그 기본적인 주제로 삼고 있으며, Robert Phillips가 "This sense of eternal torture is one of the motivation forces behind any confessional art."라고 지적하듯이, 인간의 내면적 고통의 묘사가 고백체 소설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2) Robert Phillips, "The Confessional Mode in Modern American Poery", in the Confessional Poets,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p.13. Phillips는 "Alienation(소외) is a recurring theme...Indeed. they(confessional poems) are confessional precisely because of this felt alienation."으로 언급한다.


 

 고백체 구조가 제시해야 할 필수적인 요소는 일차적으로 '자기인식'을 모색하고 있는 인물들을 부각시킨다는 점이다. 

 


Garrett Kaoru Hongo는 이들 주인공들이 행하는 고해행위는 과거 행적에 대한 논리적인 고찰이며, 고백체 문학이 단순히 한 개인의 일대기적 기술이 아니라 묵상을 통한 성찰과정의 기술을 중요시한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묵상은 타인에게 행하던 고해의 행위가 내면화된 것이라 할 수 있으며 Louis L.Martz는 묵상을 통해 자신에게 이야기하는 형식으로, 자신의 기억 속에 내재된 한 순간이나 문제를 재고해 볼 기회가 주어진다고 설명한다. 결과적으로 자기인식에 이를 수 있는 해명의 장이 마련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해석 : 명상적인 시는 마음의 내면적인 드라마를 창조해낸다. 이러한 극적인 행위는 보통 self-address에 의해 창조된다. 셀프 어드레스란 마음이 기억에 의해 문제나 상황을 강하게 붙들고 있는 것...

 

 유사한 맥락에서, John Kenny Crane은 Henry Bergson의 "Parasite self"와 "Concrete self"의 개념을 사용하여 회상과정을 통해 깨달음에 이르는 과정을 설명한다.

 

 Doody는 고해자의 의도적인 자기 주장을 고해행위의 요지로 파악하고, 그 의도성의 유무가 일반적 일인칭 소설과 고백체 소설과의 분기점이 된다고 설명하고 있다. 그는 작품 중의 고백자 또는 그 저자가 지니고 있는 의도적 진술에 관하여 아래와 같은 소신을 밝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