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m논to문

애니메이션에 있어서의 여성성 표현에 관한 연구 / 김미숙 (1)

snachild 2014. 4. 22. 14:45

애니메이션에 있어서의 여성성 표현에 관한 연구Ⅰ =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Femininity of AnimationⅠ- Focusing on the Female Gesture
김미숙(Misuk Kim) (애니메이션연구, Vol.9 No.4, [2013]) [KCI등재]
간략보기 원문보기기관내무료 복사/대출신청 장바구니담기

Contents 1. 서론
2. 여성의 보편적 몸짓의 특징 이해
3. 고전적 여성상의 몸짓 표현 사례분석
4. 현대 애니메이션에서 나타나는 적극적이고
다양한 여성상 사례분석
5. 결론

 

 

 애니메이션에서 캐릭터는 대사를 포함한 몸짓과 표정을 통해 캐릭터성(特質, characteristic)을 만들고 스
토리를 이끈다. 그 몸짓과 표정은 성별, 나이, 성향, 성격, 감정, 자라온 환경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본 논문은 성별, 그중에서도 여성의 몸짓에 대한 방법적인 고찰을 담고 있다. 특히, 같은 여성의 성별을 가지고 있
다 할지라도 캐릭터성, 즉 성격과 성향, 추구하는 바에 따라 어떻게 몸짓이 달라질 수 있는지 논하였다.
이에 대해
먼저, 여성성을 나타내는 보편적인 몸짓을 영화에 나오는 실제 여배우들의 몸짓을 통하여 선행연구 하였고, 디즈
니 고전의 공주와 마녀, 그리고 현대의 다양화된 여성캐릭터를 예로 들어, 성향의 다름에 따라 어떤 몸짓을 사용해
성공적으로 표현하였는지 살펴보고 그에 대한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물이 애니메이션
속 여성 캐릭터의 몸짓을 표현하는 데에 있어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할 수 있기를 바란다.
주제어 │ 여성성 표현, 몸짓 언어, 고전적 여성상, 현대의 여성상, 캐릭터

 

>>마찬가지로 여성상 긍정적으로 보는 듯

 

 

 1. 서론
1) 연구의 목적 및 문제 제기
여성은 남성과 해부학적으로 다른 구조로 인한 외모의 차이점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사회,
문화적 요인에 의해 다른 행동 양식을 보이며 살아간다.
이는 그 동안 시대적, 사회적 요인
에 따라 영화나 애니메이션 속에서 여러 종류의 다양한 여성상으로 변화하며 표현되어 왔
다. 이런 다양한 여성상을 제대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먼저 이야기 설정에 맞게 캐릭터의 성
별과 구조 등에 따른 기본적인 몸짓의 차이를 만들어야 한다. 여기에 성향이나 성격, 추구하
는 바에 따른 몸짓의 차이를 더해 준다면 캐릭터성(特質, characteristic)을 더욱 강화시킬
것이며, 뿐만 아니라 캐릭터의 몸짓에 적절하게 녹아들어간 이 요소들은 관객의 주인공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상황에 따른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데에 큰 작용을 할 것이다.
애니메이션 속 이야기 흐름에 부합하는 여성 캐릭터를 잘 표현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몸짓을 부위별로 구체화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는, 여성의 손짓, 고개, 시선 등의 움직
임에 따라 관객에게 전하는 메시지가 달라지기 때문인데, 올바른 문법과 단어로 글을 써야
독자에게 작가가 하고 싶은 메시지를 잘 전달할 수 있듯이, 캐릭터의 성격이나 상황에 따
른 올바른 몸짓을 만들어야 관객이 캐릭터와 스토리를 잘 이해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
하고, 현재 우리나라의 애니메이션계에는 여성의 몸짓을 연구하고 몸짓의 대해 구체적인
방법론을 제시한 연구물이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고전 애니메이션으
로부터 현대 애니메이션에 이르기까지 여성 주인공들이 애니메이션 속에서 스토리와 캐릭
터성에 따라 어떤 몸짓언어로 표현되었는지 사례분석을 통해 파악한 후, 애니메이션에서
여성캐릭터의 몸짓 언어를 효과적으로 만드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려 한다. 특히 그중에서
도 수동적인 여성 캐릭터와 능동적인 여성 캐릭터의 몸짓언어는 어떻게 구별되는지, 또 현
대의 여성 캐릭터의 다양성은 어떻게 발전되고 표현되었는지 연구하고 그에 대한 방법론

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본 논문이 애니메이터들이 여성의 애니
메이션을 하는 데에 있어 길잡이가 되었으면 한다.

 

 >>몸짓. 표현 중심

 

 

 2장에서는 학자들에 의해 여러 논문에서 발표되었던 여성성과 여성의 몸짓에 대한 이
론적인 의미를 선행연구한 후, 영화 속에 나타나는 실제 여배우들의 몸짓연기를 통해 앞서
살펴봤던 여성의 몸짓에 대한 이론을 구체화시키려 한다. 3장에서는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수동적 캐릭터인 공주와 능동적 캐릭터인 마녀의 사례분석을 통해 애니메이션 속 고전적
여성의 정형화된 몸짓에 대해 살펴본 후, 4장에서는 <뮬란>, <메리다와 숲>, <누가 로저
래빗을 모함했나?>의 현대 애니메이션 속 다양한 여성상의 사례 분석을 통해 여성성의 표
현이 어떻게 변화, 진화되어 왔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단, 본고 “애니메이션에 있어서의 여
성성 표현에 관한 연구 I-여성의 몸짓 언어를 중심으로”에서는 표정을 제외한, 몸짓 위주
의 연구에 초점이 맞춰져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1990년 발표된 미국정신분석학회(The American Psychoanalytic Association)의
Psychoanalytic Terms & Concepts에 따르면 여성성(femininity)이란 여성의 특성을
통틀어 지칭하는 용어로서, 여기에는 해부학적 구조, 외모, 성 정체성, 성 역할, 정적 지향,
문화적으로 결정된 사회행동 등이 포함된다1)고 한다. 영국의 정신분석학자 조안 리비에르
(Joan Riviere)의 「가면으로서의 여성성(Womanliness as a Masquerade)」에 의하면 여
성성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라는 성 심리 발달론에 기초하고 있으며 그 발단 원인은 유아의
공격성과 새디즘에 있다고 본다.

 

 >>왓????

 

여성성은 여성안의 남성성이 비난과 처벌받을까 두려워 자신을 방어하는 방어막이자 위장된 보호막으로, 여성이 보이는 교태나 과장된 여성성은
자신이 가진 남성성을 은닉하고 가장하기 위해 자신을 가리는 가면
이라는 것이다.2) 리비에
르의 논의에 따르면 진정한 여성성과 가면으로서의 여성성 간에는 차이가 없으며, 여성의
가면 그 자체가 바로 여성성이며 여성성은 수행적 산물이라는 의미가 된다
.3) 성역할의 개
념은 현대 사회로 오면서 생물학적 요인보다는 오히려 사회 문화적 요인이 의해 형성된다는
견해가 지배적으로 대두되고 있다(한국여성 연구소 1980). 즉 성(gender)은 갖고 태어나
는 것이 아니라 성장하면서 자신이 남자와 여자라고 하는 성별 정체성(gender identity)을
획득함으로써 갖게 되는 것이고 이때부터 사회, 문화적 요구와 기대에 따라 적합하다고 규
정되는 일련의 가치관과 행동을 습득함으로써 확립되는 것이라는 시각이다(성정아, 1994;
윤혜원, 1990; 조정란, 2000; 황지현, 2002).4) 다시 말해, 여성성은 여성들이 정치적, 문화
적, 이데올로기적, 사회구조학적 역할 등의 기대에 맞추어, 닥친 상황에 순응하든 도전하든,
그 필요성에 따라 표현양식을 만들어왔음을 뜻하며, 여성들이 저마다 추구하는 바, 성격, 성
향, 외형적인 모습 등과 결합하여 다양한 여성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2) 최정선(2005), 「애니메이션 작품 속에 나타난 여성성」, p.173.
3) 최정선(2005), 위의 논문, p.174.

 

 

 

 2) 여성의 몸짓
일상생활에서 정의되는 여성성은 수동적이며 보호받아야 할 존재, 또는 미를 중시하고 남
자에게 선택되기를 기다리거나 남성에게 가르침을 받는 존재로서 이해되어 왔다
(Rubinstein, 1995; Berger, 1972; Gooffman, 1976).5)

 

 

또 다른 여성스러운 몸짓으로는, 손을 자신의 얼굴이나 몸에 살포시 가져다 대는 동작
이 있다. ‘입 근처에 한 손이나 양손 갖다 대기’에 대해 피터 콜릿(Peter Collett)은, 성적으
로 어필(appeal)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특정한 신체부위에 주의를 끌기 위해 자기접촉을
하는 포인터(pointer) 행위라고 설명하는데, 손으로 볼이나 입 주위 등의 ‘얼굴 만지기’,
‘손바닥으로 턱을 받치거나 감싸기’, ‘머리 쓸어 넘기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고 한다.11) 이
에 대해 앨런 피즈(Allan Pease)와 바바라 피즈(Barbara Pease)는, 여성이 남성에게 언
젠가 자신의 몸을 만질 수 있다는 허락을 암시하는 몸짓이라고 설명한다.12)

 

>>이런 식으로 몸짓 분석....

 

 

 

 3. 고전적 여성상의 몸짓 표현의 사례분석
1) 디즈니 애니메이션으로 살펴본 수동적(受動的), 순종적(順從的) 여성상
1900년대 중반 이전의 여성의 삶은 한마디로 가정 안에서의 삶이라고 요약할 수 있다. 그
시대를 살아가던 대부분의 여성의 삶은 사회의 일원으로 살아가기 보다는, 가정의 테두리
에서 남편, 혹은 아버지가 사회에서 일을 잘 할 수 있도록 육아를 담당하거나 밥과 빨래를
하며 가정 일을 돌보며 사는 것이 보편적이었다. 현대를 사는 우리에게 당연시 되는 여성의
투표권이 보장된 것조차 미국이 1920년, 한국이 1948년의 일이니 말이다. 그 이전 여성의
삶은 사회적으로 많은 제약으로 인해 능동적이라기보다는 수동적인 삶에 가까웠으며, 수동
적이고 순응하는 여성의 모습이 미덕인 시대였다. 이는 유럽의 민담과 동화 등에 잘 묘사되
어 있으며 이런 이야기들을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었던 디즈니 초기의 애니메이션에서도 수
동적 여성 캐릭터들이 주인공으로 많이 등장했다.

 

 

 

마녀를 만들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여성
성을 나타내는 몸짓에 이제껏 살펴봤던 직선적인-강한 남성적인-몸짓을 추가함으로써 악
한 캐릭터성(特質, characteristic)을 구현할 수 있다.

 

 

최근 만들어진 적극적인 성격을 가진 여성 캐릭터들의 몸짓의 특징들을 살펴보면, 고
전적이고 순종적인 여성의 몸짓과 더불어 마녀적 여성의 몸짓뿐만 아니라 남성적인 몸짓
의 특징까지 두루 나타남으로써 과거에 비해 좀 더 입체적 캐릭터로 표현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뮬란이 여성도~ 남성도~ 근데 난 이게 입체적이라기보다는... 여전히 여성을 남성화하여 기존 사회에 편입시키려는 거로 보이는데

 

 

 

5. 결론
본 논문은 애니메이션 속 여성 캐릭터의 몸짓 표현에 대한 방법을 구체화하고, 그 구체화된
결과물들을 실제 애니메이션에 효과적으로 적용시키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시작되
었다. 이에 대해, 사회심리학자들이 분류하는 여성의 몸짓과 의미를 먼저 논하였고, 영화
속 실제 여배우들의 연기를 분석하며 캐릭터의 특성에 따라 달리 표현되는 몸짓에 대해 선
행연구를 한 후, 디즈니(Disney) 애니메이션의 고전인 백설공주와 신데렐라를 통해 순종
적(順從的), 수동적(受動的)여성의 몸짓에 대해, 왕비와 새엄마를 통해 마녀적(魔女的) 몸
짓에 대해, 그리고 캐릭터 뮬란과 메리다, 제시카 래빗을 통해 현대의 적극적(積極的)이고
다양한 여성의 몸짓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모두 다른 캐릭터임에도 불구하고, 캐릭터의 성격과 성향, 추구하는 삶의
방식 등에 따라 일련의 몸짓 패턴을 가지고 그것들이 반복돼 표현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몸짓이 그 마다 내포하고 있는 정형화된 기호가 분명히 있으며, 관객에게 캐
릭터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애니메이션의 이야기를 잘 전달하기 위해서는 위에서 살펴
봤던 정형화된 방법론을 사용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표현하고자 하는 캐릭터의 정체성과
어울리지 않거나 반대되는 몸짓을 표현한다면 관객들에게 혼란을 가져올 것이기 때문이
다. 본문에서 제시한 여성의 몸짓에 대한 방법론을 저마다의 캐릭터성(特質, characteristic)
에 맞게 더 과장하거나 축소하여 표현한다면, 그 여성 캐릭터는 애니메이션 안에서
그녀만의 정체성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며 관객과의 소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