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애니메이션 〈하울의 움직이는 성〉에 나타난 여성상의 고찰
- 임찬(Chan Lim) (디자인학연구, Vol.64 No.-, [2006]) [KCI등재]
- 간략보기 원문보기 복사/대출신청 장바구니담기
<하울의 움직이는 성>에서는 기존의 미야자키 하야오의 애니메이션에 등장하는 소녀상의 전형을 벗어난 새로운 여성상이 등장하고 있다. 소극적이며 자신감에 결여된 소피가 그러한데, 마법이라는 판타지를 통하여 하울이라는 분신과 다양한 연령의 여성으로 변신을 거듭한다. 소피의 신체로 표현되는 변화는 외부의 존재들과 다양한 경험과 스스로의 모성의 획득을 의미한다.
>>초록부터 각주가..;
이미 익숙해진 미야자키 하야오 애니메이션에서의 소녀의 이미지가 어떤 식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그것이 결국 새로운 여성 주인고으이 새로운 패턴을 확립하는가 하는 것을 확실히 하고자 한다.
순수한 오락을 지향했던 시대의 <루팡>, 인류 종말의 비상한 예감으로서의 <나우시카>, 일본을 다시 생각한 <모노노케 히메>와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등 동시대의 기분과 연결되어온 애니메이션 작가로부터 비장한 독기는 빠지고 소녀를 향한 시선도 부드러워졌다. 여성 캐릭터의 기용은 변화, 성장, 자비로운 힘이라는 극히 중대한 가능성을 부여, 일상적 차원의 현실적인 인물로 굳어질 수도 있는 부분을, 황홀한 대안적 세계의 실현 가능성을 중계하는 도관이나, 관객으로 하여금 감독의 독특하고 낯선 세계를 이해하고 상상 속에서 참여 하도록 돕는 이상적인 안내자의 기능을 하기도 한다.
젊은 여성 캐릭터
삶과 죽음 초월한 공간인 숲에서 신성한 동물들과 교류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유형의 소녀상
그러나 여기서 소피는 90세의 노파로 변하는 마버베 걸리고마는 수동적이고 나약한 존재로서 묘사되고 있다. 다른 세계-혹은 세력-과의 대항이나 대결 구도가 아닌 불가항력적인 힘에 의해 그 세계에 편입되고 만다. 지금까지 보여 진 미야자키 하야오의 소녀 전사의 패턴에서 벗어나 단체나 집단보다는 지극한 개인의 내면의 묘사가 주를 이루며 한 개인의 다양한 연령대를 병렬시킴으로서 개인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소녀의 얼굴로 변신(메타모르포제)
애니메이션의 상상적인 특질은 실사영화와는 다른, 어쩌면 훨씬 더 창조적인 형식으로 인간의 정체성의 문제를 탐구하도록 해 준다.7)
7) The Analysis of Kokakuridotai, Kodansha, Yong Magazine, 1995.
즉, 자아에 대한 인상적인 성찰을 판타지로 표현하는 것이다. 실제로 애니메이션이 표현하는 인간의 신체는 이 매체의 가장 흥미롭고 자극적인 면들 중의 하나이다. 인간 형상의 애니메이션적인 구현은 매우 다양한 유형(혹은 원형)을 가로지르며 관객들이 느낄 수 있는 방대한 영역의 허구적 정체성을 암시적으로 뒷받침한다. 애니메이션 공간은 인간의 형상을 변형시킴으로서 인간이 된다는 것에 대한 명암을 봉져누다.8) 이 세계에서의 변신은 어디서든 빈번하게 발생하며 풍경과 자연세계에서부터 기계와 건축에 이르기까지, 무한하게 다양한 이미지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의사가족을 형성하는 구심점
융(Jung, Carl Gustav)이 말하는 한 인간의 그림자(shadow)와 자아(에고)의 관계인 셈이다. 여성안의 남성적 심리요소(아니무스)와 남성안의 여성적 심리요소(아니마)로도 소피와 하울의 관계가 설명된다.9)
소피를 지키고자하는 하울의 마음은 전형적인 남성원리라기보다 오히려 모성의 보호본능과도 일치 한다
이중적인 의미의 구현화
가족적 유토피아로까지 비약
'비상'이라는 이미지
미야자키 애니메이션의 거의 정해진 테마라고 해도 좋을 '가능성(possibility)'이라는 테마는 비상의 영역을 통하여 반복해서 표현된다. .... 미야자키 애니메이션 작품에서는 늘 지상 장면이 중요한 의미를 갖지만, 일상 세계 위를 활공하는 어린이의 만능성을 시사할 뿐만 아니라 그들의 공포와 불안을 불식시키는 능력을 가리키는 것이다. 라고 말한다.
하울에게 있어서 어머니는 설리먼... 은밀한 젠더의 경계를 교란하며 보통은 아버지가 행사하는 권위와 엄격한 명령과 징벌 등을 담당하고 있다. 여성에게 통념적인 남성의 역할을 부여하며 여성 역할의 개념을 전복시키고 있다. 이는 하울이 가지고 있는 여성적인 것과 특징을 함께한다.
>>글쎄.. 전복 같지는 않은데.
이 장의 '모성성의 획득'도 이미 이전의 미야자키 애니메이션에서 나온듯. <나우시카> 원작에서 병사들을 어머니처럼 안고 보살펴주는 '나우시카'의 이미지라던가...
<<기존의 미야자키 애니메이션의 여성상들은 a 였다 그런데 하울에서는 b라는 새로운 여성상을 보여주고 있다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논의
개인적으로 저자의 표현이 군데군데 놀랄 만큼 멋졌음
'from논to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니메이션 <로보트 태권V>의 여성관 연구 / 이지은 (1) (0) | 2014.04.22 |
---|---|
애니메이션에 있어서의 여성성 표현에 관한 연구 / 김미숙 (1) (0) | 2014.04.22 |
Image, Text, and Story: Comics and Graphic Novels in the Classroom (20/100) (0) | 2014.04.19 |
조선 여성의 유교적 여성상 내면화 연구 / 김언순 (1) (0) | 2014.04.19 |
전근대와 근대의 교차적 여성상에 관해 / 오혜진 (1) (0) | 2014.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