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
1-1? 연구방법? 및? 범위
2.? 디지털? 아트(Digital? Art)의? 개념
3.? 디지털? 아트(Digital? Art)의? 성립? 배경
3-1? 디지털? 아트의? 예술? 철학적? 배경
3-2? 디지털? 아트의? 기술적? 배경
3-3? 디지털? 아트의? 문화적? 배경
4.? 디지털? 아트의? 미학적? 특성
4-1? 상호작용성(Interactivity)
4-2? 비물질성
4-3? 참여를? 통한? 경험과? 체험
4-4? 열린? 과정의? 예술
4-5? 가상성(Virtuality)
4-6? 시간성
4-7? 복합감각형? 인간
4-8? 원격현전(Telepresence)?
4-9? 참여·소통·공유·개방?
4-10? 혼합현실(Mixed? Reality)
4-11? 네트워크성
4-12? 원본성
4-13? 퍼포머로서의? 신체성
4-14? 몰입감
1.? 서론
디지털 환경은 인간의 삶과 인식의 전반뿐만 아니라 예술에도
커다란 영향을 끼치고 있다. 지속적으로 발전하는 기술에 힘
입어 예술가는 자신의 예술적 상상력을 현실화시킬 수 있게
되었고 이로 인해 새로운 예술적 세계관과 형식이 나타나기에
이르렀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디지털 아트가 탄생할 수 있
는 기반을 마련해 주었다.
디지털 아트는 기존의 예술과 첨단 기술을 융합하여 새로운
형태의 예술을 창조하고 있다. 작품을 만드는 주체도 전문 예
술가에 국한 되어 있던 것이 디지털 기술의 활용으로 인해 일
반인들도 작품 활동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고, 작품 감상도
시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게 되고, 관객과 함께 상호작용한다
는 점에서 커다란 인식의 전환을 가져다주었다. 디지털 아트
는 관람객을 작품에 참여하도록 하여 대중적이며 수평적인 예
술의 성향을 지니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한 디지털 아트의 개념을 정의하
고 디지털 아트의 개념을 성립시킨 예술적, 문화적, 기술적
배경을 살펴보고, 예술 환경 변화에 따른 디지털 아트의 미학
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매체환경의 변화는 대중의 지각방식을 바꿔놓게 되었다. 지각
의 영역에서 일어난 변화는 예술의 변화로 이어졌고. 현실과
가상이 뒤섞인 혼합현실에서 살게 되면서 이른바 '디지털 예
술 실천'을 낳았다.5)
3-1-2.? 리하르트? 바그너(Richard? Wagner)? :? 총체적? 예술
1849년, 리하르트 바그너(Richard wagner)의 총체예술
(Gesamtkunstwerk) 개념은 예술의 포괄적인 통합을 위한 최
초의 시도 중 하나였다. 바그너는 음악, 노래, 무용, 시, 시각
예술과 무대 디자인 등 악극의 효과를 다방면에 걸친 인간의
경험을 포괄하여 모든 예술을 이상적으로 결합하려 하였다.
그의 '총체 예술'과 개별 예술 장르의 종합에 대한 통찰적 접
근은 디지털 아트의 개념에 중요한 비전을 제시했다.11)
라즐로 모홀리 나기(Laszlo Moholy-Nagy)는 바그너의 "총체
극(Total Theater)" 개념을 계승하여 추상적인 예술표현을 종
합하려는 "총체적 연극(Theater of Totality)"을 시도하였다.
특히 연극뿐만 아니라 회화, 사진, 영화, 조각 등의 모든 작품
에 기계적 모티브를 통합하였다는 사실이 주목할 만하다.12)
개념미술가는 전통적인 수공업 작품을 위한 '아이디어', 즉 콘
셉트가 곧 작품이라고 생각했다. 개념미술가는 뒤샹의 레디-
메이드처럼 감상용 작품 또는 상품으로서의 작품을 거부하여
미술에 대한 소유권 개념에 문제제기를 했다. 따라서 개념미
술은 미술관의 컬렉션이나 미술시장 등 전통적인 미술작품의
가치 기준을 흔들었다.15)
디지털 아트에서 상호작용성은 예술가-관람자-작품이라
는 전통적인 구도를 제작자-사용자-새로 생성되는 작품이라
는 새로운 구도로 변화하게 하였다. 이것은 디지털 기술로 인
해 형성된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가상현실에서 새로운 소통의
방식이 실현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28) 작품과 수용자간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예술가, 작품 그리고 수용자 간의 예술적
인 교감이 완성되는 것이다.
4-6.? 시간성?
전통적인 미술이 특정한 순간의 정지된 모습을 담아낸다는 점
에서 공간미학에 중심을 두고 있었다면, 디지털 아트에 있어
서는 시간성이 작품에 있어서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디지
털 아트는 시간의 흐름을 따라 이어지는 장면들 간의 연속과
움직임을 첨단 테크놀로지를 이용해 담아내고 있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이미지의 가변성(changeability) 및 유동성
(fluidity)을 주제로 하는 작품,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 과거·
현재·미래를 나타내는 연속성이 비연속적인 관계로 받아들여
지게 하기도 한다. 이이남의 <겸재정선 박연폭포-오르내리다>
와 같이 과거들을 현실 속에서 실시간으로 재생하기도 하고,
현실의 영역을 우리가 상상할 수 있었던 이상으로 확대시키기
도 하며, 상상속의 미래 등 시간의 흐름에 따른 이야기의 전
개나 이미지들의 변화를 다루기도 하지만, 시간 자체의 개념
을 작품으로 구현하기도 한다. 빠른 속도와 느린 속도로 여러
가지 이미지들을 중첩 또는 삽입함으로서 일상적인 시간의 개
념에 혼란을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시간성의 변화를 통하여
비판적 메시지를 전하기도 하고 또 서로 다른 여러 시간성이
우리 현실 속에 존재함을 보여 주기도 한다.35)
4.11 네트워크성
디지털 아트는 네트워
크의 사용자들을 단순한 관람객으로서 존재하지 않게 하며,
문화적 행위를 고취시키고 예술의 대상으로서 스스로를 보다
책임감 있는 참여자로 만든다.44)
>>13개 요소 뽑아 놓은 것 재미있다
다시 참고해봐도 좋을 듯
요소별로 한 단락씩 설명해 놓은 거 읽어봐도 좋다 아이디에이션 하기에
'from논to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이보그를 위한 선언문 / 다너 헤러웨이, 임옥희 번역 (0) | 2014.04.10 |
---|---|
디지털 스토리텔링 / 조은하 (0) | 2014.04.09 |
미셸 푸코의 "담론" 개념 - "에피스테메"와 "진리놀이"의 사이 / 허경 (0) | 2014.04.08 |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기호학적 생성구조 연구 / 김윤배 (0) | 2014.04.08 |
무신론 시대의 종교성 / 박일준 (0) | 2014.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