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체감을 기반으로한 노인용기능성게임 디자인 연구 = A Study on the Design Coenesthesia-based Welfare serious game design
- 라정엽,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2012] [국내석사]
- 간략보기 원문보기 복사/대출신청 장바구니담기
최근 들어 게임시장에서 각각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즐길 수 있는 체감형 게임들이 개발되고 있다. [15,16] 이러한 체감형 게임들은 사람신체의 움직임 및 오감을 최대한 반영한 리얼리티(Reality)를 추구하는 게임들이다.
일본에서는 2001년도[17]부터 활발히 노인용 기능성게임이 개발/연구되고 있는데 '태고의 달인[4]'과 '두근두근 뱀 퇴치RT[6]'를 들 수가 있다.
기능성 게임 분류
분야 : 교육 군사 의료 공공부문 비즈니스 기타
목적 : 훈련 교육 홍보 치료 체험
>> 분야 - 소재에 따라 정해진 듯
목적 - 외재적
<<헐... DDR이 체감형 게임이었어??ㅋㅋㅋㅋㅋㅋㅋㅋ 나 멍청
Kinect 체감형게임의 가정화, 대중화
일반적으로 게임구조는 보통 순서구조, 그리드구조, 계층구조, 웹구조 등 4가지 구조로 구분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캐주얼게임에서 많이 사용되는 계층구조로 게임구조를 설계하고 실제 노인들을 대상으로 파일럿 테스트를 실시하였는데
<< 게임을 직접 개발하고 이에 대해서 실제 플레이해보게 해서 설문 조사. 실증적 연구
'from논to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인용 기능성 게임개발을 위한 중노년층의 수요분석 / 이윤정, 안준희, 임경춘 (0) | 2014.03.04 |
---|---|
실버세대의 인지능력 향상을 기능성 게임 콘텐츠 연구 / 신수산 (0) | 2014.03.03 |
The remediation of the personal photograph and the politics of self-representation in digital storytelling (0) | 2014.03.02 |
Distributed Episode Control System for Interactive Narrative Entertainment (60/100) (0) | 2014.03.02 |
Collaborative Storytelling in the Web 2.0 (0) | 2014.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