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툰의 엽기성에 대한 연구 : 〈야심작 정열맨〉을 중심으로
>>예전에 봤던 것 같긴 한데 옮겨놓진 않았구나
이거 애니메이션 연구 거였구나
본 연구에서는 엽기적 웹툰이 1990년대 일본 엽기만화
의 구조적 특징을 부분적으로 계승하며, 포스트모던적 엽기문화가 웹툰을 통해 표현되어진 장르라고 보았다. 본
논문은 엽기적 웹툰의 등장 배경으로 엽기 성향의 만화와 인터넷의 엽기문화를 연구하여 이들이 웹툰에 미치는 영
향과 엽기적 웹툰의 특성을 연구한 논문이다. 이에 따라 웹툰, 엽기문화, 만화의 포스트모더니즘 연구를 선행하여
엽기적 웹툰의 특성을 추출하고 엽기적 웹툰 <야심작 정열맨>의 연구를 통해 앞서 추출한 특징들이 어떻게 드러
나고 있는지 연구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엽기적 웹툰은 아이러니, 탈정전화, 상호 작용성 등의 특성을 갖고 있음을
추출하였다. 연구 작품 <야심작 정열맨>에서 아이러니적 요소는 언어유희와 부조리, 다의적 요소로 나타나고, 탈
정전화(正典化) 현상은 전위적 실험성과 패러디로 나타나며, 상호작용성은 수용자의 행위와 참여 그리고 상호텍
스트성으로 나타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엽기적 요소는 특히 부조리와 의외성 등을 통해 코믹한 상황의 연출에
효율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작품만의 독립된 코드 형성에도 기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수요 집중성이 높아져 가
는 엽기적 웹툰을 차별화된 장르로 인식하고 개념화를 시도한 것에 의의를 두고 있으며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엽기적 웹툰이 구분된 장르로 인식되길 기대한다.
웹툰의 등장도 이러한 매체 전환에 의해 이루어졌다. 인터넷 공간을 통해 만화 콘텐츠
가 소비되고 이어 웹툰이 등장하면서 전통적인 만화의 수용구조 또한 변화하였다. 출판만
화에서 작가와 독자의 관계는 일방적 정보전달의 형태였다. 그러나 웹툰에서는 게시판을
통해 실시간으로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고 수용자 간에 독립된 커뮤니티가 형성되기도
한다. 또한 수용자가 다시 작가로서 작품을 제작하거나 직접 게시판에 올리고 다른 사이트
로 옮겨 나르는 등 작가와 독자와의 관계는 역할이 유동적이며 상호작용이 가능한 관계로
바뀌었다.
>>아이고.. 이 부분... 이 논문을 좀 더 일찍 봤어야 했는데..
>>필참고 해도 될듯?
본 연구에서는 엽기적 웹툰을 인터넷의 엽기문화가 웹툰을 통해 표현된 장르이자 출판
엽기만화에서 매체 전환하여 나타났다고 보았다. 이러한 관점에 따르면 엽기적 웹툰은 출판
엽기만화의 특징을 부분적으로 계승하고 있으며 매체에 의한 작법, 수용형태, 유통의 변화
등에서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엽기적 웹툰의 연구에 앞서 인터넷의 엽
기문화와 웹툰, 그리고 만화의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연구를 통해 엽기적 웹툰의 등장 배경
과 엽기만화의 특징 요소를 연구할 것이다. 이에 따라 엽기적 웹툰의 특성을 추출하고 사례
작품연구를 통해 엽기적 웹툰의 장르적 구분을 시도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논문에서의 엽기는 문화적인 개념으로 ‘기발하거나 괴상하면서도 재밌는 것’, ‘발상
의 전환’ 등을 총체적으로 이르는 확장된 개념으로서의 엽기에 주목한다.1) 엽기적 웹툰의
범주는 장·단편 스토리 극을 제외한 에피소드 웹툰 중에서도 생활만화, 감성 에세이 형식
의 제외한 에피소드 웹툰을 대상으로 하였다.
>>생활만화, 감성 에세이 형식 ; 일상툰 말하는 듯
<<김욱동의 포스트모더니즘 논의 자체가 방법론..
엽기문화는 탈전통적이며 탈 중심적인 특징을 갖는 포스트모더니즘의 한 유형으로서 기성
문화에 대한 반발 혹은 보편적인 것에 대한 일탈 욕구를 대변하는 문화이다. 그리고 웹툰이
란 웹(web)과 카툰(cartoon)의 합성어로 인터넷에서의 서비스를 목적으로 제작되고 유통
되는 만화를 일컫는다.
>>이 정의는 참으로 여기저기서 다 보임...
따라서 엽기적 웹툰은 인터넷의 매체적 특징과 만화의 구조적 특징,
엽기문화의 포스트모던적 특징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엽기적 웹툰 연구를 위해
웹툰연구, 엽기문화 연구, 만화의 포스트모더니즘 연구가 선행되었다.
웹툰은 고급 디지털 기술이 대중화되고 인터넷 공간을 통해 개인의 작품게재가 자유로
워지면서 더욱 활성화되었다. 초기 개인 홈페이지나 블로그를 통해 제작되던 웹툰은 포털
사이트의 웹툰 마켓을 중심으로 제작되고 발전하면서 현재적 의미의 웹툰의 형식과 구조
를 완성하였고 다양한 장르화와 양적 성장을 이루었다.
>>아이고 이 논문 좀 일찍 읽을 걸ㅠㅠㅠㅠ
웹툰의 다양한 장르화는 예외성을 인정하며 소수 문화에 대해 개방되어 있는 인터넷
공간의 개인화된 대중 성향에 따른 것이다. 이러한 배경은 그로테스크한 스타일의 작화 혹
은 마니아적 유머코드를 갖는 엽기적 웹툰이 등장하고 소비될 수 있었던 요인이다.
>>일찍 좀 읽을 걸333...
인간 문화의 속성인 엽기적 코드에 대한 관심이 2000년대에 들어서 증폭되고 대중화된
이유는 디지털 사회에서의 포스트모더니즘 특성과 깊게 연관된다. 포스트모더니즘은 20세
기 후반에 두드러진 사회문화적 현상으로 기존의 이성주의, 합리주의적 전통에서 벗어나 탈
형식, 탈 서사화를 통해 다양성, 개인성, 대중화를 이루었고 이러한 속성들은 엽기문화가 유
행될 수 있었던 배경적 요인이다. 또한 엽기문화가 대중적으로 확산되고 유행할 수 있었던
것은 개방적이고 개인적인 특성을 갖는 인터넷 매체를 통해 소통되었기 때문이다.
디지털 공간에서는 정보의 생산과 수요자의 경계가 모호해졌으며 이러한 상호작용성
은 포스트모더니즘의 대표적인 속성이다. 따라서 인터넷 문화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
아래 있으며 인터넷의 엽기문화, 더 나아가서 엽기적 웹툰 또한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 아
래 있다고 할 수 있다.
엽기문화에서 ‘엽기’는 억압된 현실에서 일탈을 원하는 대중들의 욕구가 표현되는 코드
로서 비정상적이고 비현실적이며 과장되고 우스꽝스럽게 표현된다. 즉, 엽기문화는 전통
에서 벗어나 탈 형식, 탈 서사화를 통해 다양성, 개인성, 대중성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모
더니즘의 문화현상이다. 이러한 특징들은 엽기적 웹툰에서 전통적인 것에 대한 단절과 실
험적 시도, 패러디 등의 요소를 통해 탈정전화(正典化) 현상으로 나타난다.
<<엽기 웹툰의 선행 담화체를 일본 만화에서 찾다니?!?!
웹툰에서 ‘엽기’의 개념은 ‘보수적 사회현실에 대한 욕구 표출’ 혹은 ‘포스트모더니즘의 유형으
로서 탈전통·실험적인 문화발상’으로 의미를 확장한다. 따라서 엽기적 웹툰은 인터넷의 대
중화에 의한 새로운 문화 현상으로서 개인의 욕구를 중요시하는 포스트모더니즘 경향과 대중
의 오락 지향적 소비를 바탕으로 주로 개그만화의 독립된 코드나 개그 표현에 활용되고 있다.
4. 엽기적 웹툰 <야심작 정열맨> 연구
1) 연구의 틀
앞선 연구를 통해 엽기문화의 성행은 보편적이고 상식적인 기성문화의 억압에 대한 자유표
출, 개인화되고 다양화된 문화생활, 내재된 속성에 대한 자기표출 등을 원인으로 나타났음
을 연구하였다. 이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속성인 전통과의 단절, 패러디, 탈 장르화, 자기반
영 등 탈정전화(正典化) 현상과 연결된다. 또한 엽기적 웹툰은 엽기문화의 포스트모더니즘
적 속성을 계승하고 인터넷을 통한 커뮤니케이션의 특성인 상호 작용성을 갖는다.
엽기적 웹툰에서의 탈정전화 현상은 전위적 실험성, 자기반영, 패러디를 통해 나타난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00년대 후반의 대표적인 엽기적 웹툰 중에 <마음의 소리>보다 엽
기성향이 강하고 <이말년 씨리즈>보다는 대중적 수요가 높다는 점에서 <야심작 정열맨>
을 대상작품으로 하였다.
>>글쎄... <야심작 정열맨>이 <이말년 씨리즈>보다 대중적 수요가 높나? 그 당시 시점에서만 그랬나
(2) <야심작 정열맨>의 탈정전화
탈정전화 현상은 실험성과 자기반영, 패러디를 통해 나타난다.
'from논to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포츠의 사회적 기능변화와 스포츠복지개념 형성 : 푸코의 담론 이론적 분석 / 심규성 (0) | 2014.01.05 |
---|---|
지상파DMB 도입사례로 본 뉴미디어 거버넌스 형성과정 연구 / 양동복 (0) | 2014.01.05 |
애니메이션 <천년여우>와 <파프리카>에 나타난 신화 이미지 / 홍은아, 김정호 (0) | 2014.01.04 |
박화성 소설 연구 : 1950~60년대 소설의 담론적 실천을 중심으로 / 최창근 (0) | 2014.01.01 |
유진 오닐의 작품에 나타난 폭력 연구 : 르네 지라르의 이론을 중심으로 / 이미혜 (0) | 2013.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