텍스트성은 있다 vs 없다 로 나뉠 수 있는 성질이라기보다는 정도성을 나타내는 것이며,
텍스트성의 정도는 궁극적으로 '의사소통성'에 달려 있다는 것이다 (Kalverkamper 2000, 3).
de Beaugrande/Dressler는 일곱 가지 텍스트성을 "텍스트적 의사소통의 구성적 원리"로 선언,
이러한 텍스트성 구상은 의사소통 과정에서 일어나는 의사소통 참여자의 인지적 처리 과정에 주목하는 의사소통적-인지적 텍스트관에 바탕을 두고 있다.
하나의 텍스트는 그 자체로서 의미를 지니는 것이 아니라, 텍스트가 제시하는 지식과 인간의 기억에 저장된 일반 세상사 지식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의미를 갖는다. (김태옥/이현호 1999, 13.)
텍스트를 결정, 선택, 결합과 같은 인지적 조작의 기록물로 본다
텍스트는 선택항들이 기억 저장소로부터 실제로 선택되어 특별한 구조(요소들간의 관계) 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실현적 체계이다
>>차라리 이쪽에 가까울 듯
de Beaugrande/Dressler의 입장
그 이전의 기호적, 결과물 구조 분석 중심적. 정태적 텍스트관과 구분되는!!
탈기호적. 과정 및 사용자 기능 해석 중심적, 동태적 텍스트관
===> 의사소통 참여자의 역할 강조
뒤에 덝읽었는데 졸립다..
'from논to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텍스트언어학에서 텍스트기호학으로 : 텍스트-이미지 복합기호의 분석 / 조국현 (0) | 2013.05.12 |
---|---|
시각적 요소를 고려한 텍스트성 재개념화 연구 / 공혜림 (0) | 2013.05.12 |
문화적 기억/망각의 메커니즘으로서의 상호텍스트성 / 조경식 (0) | 2013.05.12 |
이효석 문체의 기호론적 연구 / 이상신 (0) | 2013.05.12 |
한국 웹툰의 문학성 / 최수완 (0) | 2013.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