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물 캐릭터의 의인화 연구 : 고양잇과 캐릭터를 중심으로
- 송수미,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2010] [국내석사]
- 간략보기 원문보기 복사/대출신청 장바구니담기
캐릭터의 기원은 선사시대 빌렌도르프의 비너스와 알타미라의 동물벽화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주술적인 기원과 예술행위로 과장과 생략을 통해 탄생된 동물 캐릭터들은 인간의 생존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다양하게 관련되어 왔다. 우리나라의 신라 시대에 김유신 장균묘의 십이지상 동물 캐릭터와 말에 상상의 동물을 더한 상징적 캐릭터인 천마도가 그러하다. 고려시대 불교미술의 벽화, 탱화, 회화 등에 나타난 인간 캐릭터의 과장과 생략을 통한 표현 방법은 현대적인 캐릭터와 거의 흡사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조선 후기 풍속화의 인물 캐릭터 또한 해학과 풍자가 가득하며 인물, 동물, 상상물 캐릭터의 특성을 잘 보여준다.5)
5) 전재혁, 박경철, <만화 애니메이션 캐릭터 영상 기호론>, 만남, 2005, pp.127-129.
>>이 책? 찾아봐야 할듯
이렇듯 우리 생활에서 늘 존재하고 공감성을 극대화 한 캐릭터들은 인지적 효과와 독특한 개성을 부여하는 이미지 효과, 친근감을 느끼는 정서적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6) 애니메이션에서 개성이 부여된 캐릭터들은 여러 가지 에피소드를 통해 사건을 진행시키고, 과장된 행동과 말투를 통해 관객에게 캐릭터의 매력을 보여준다.
김창환, <영상디자인 환경에서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p.10.
의인화 캐릭터는 크게 생물과 무생물로 나누고 상상물 캐릭터는 여기서 독립시켜 분류한다. 무생물 캐릭터는 바위. 구름. 바람. 태양. 지구 등이 해당되며 상상물 캐릭터는 존재하지 않는 외계인이나 괴물 등 인간의 상상으로 만들어진 캐릭터를 지칭한다. 생물 캐릭터는 크게 동물과 식물, 미생물 캐릭터로 나뉜다. 빈도수가 높은 동물 캐릭터는 크게 척추와 무척추 동물로 나뉘며 무척추 동물은 극피동물. 강장동물. 절지동물. 환형동물. 편형동물 등으로 나뉜다. 척추동물은 포유류. 양서류. 어류. 조류. 파충류 등으로 나뉘며 인간 캐릭터는 척추동물이지만 인물 캐릭터로 따로 분류한다. 빈도수 높은 인간 캐릭터는 다시 성별, 나이로 구분하며 내용별로 크게 생물과 무생물, 상상물 캐릭터는 살펴보면 아래의 내용과 같다.
>>헐?????? 뭔짓... 이게 왜 "내용별" 분류임;;;
>> 각주9 오타 : 캐리코드가 아니라 캐리코트
>>현은령과 김민정 <미국 애니메이션에서 동물 캐릭터의 의인화 표현방식의 변화>
는 캐릭터의 의인화가 어떠한 시대적 변화를 거쳐 왔는지에 대해 잘 보여주고 있으나, 동물 캐릭터가 가지는 형태적 특징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따라서 동물 캐릭터의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형태와 관련해 동물의 의인화를 인간과 비교해 해부학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from논to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니메이션 의인화 동물 캐릭터 분류 및 검색방법 / 이영숙 (0) | 2013.11.13 |
---|---|
3D 애니메이션 동물 캐릭터의 의인화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 왕효선 (0) | 2013.11.12 |
사이버 매체와 현대의 대중 서사 -매체의 변화와 타자성의 탈 주변화 과정- / 나은진 (0) | 2013.11.12 |
주체, 타자, 커뮤니케이션 : 레비나스와 함께 커뮤니케이션을 다시 생각하기 / 박홍원 (0) | 2013.11.12 |
한국 비속어에 드러난 타자화와 권력 담론의 재생산 / 윤수연 (0) | 2013.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