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퍼스의 기호론 = Peirce's Semiotics
- 민병위(Byung-Wi Min) (哲學, Vol.38 No.-, [1992]) [KCI등재]
- 간략보기 원문보기
복사/대출신청 장바구니담기
- 간략보기 원문보기
<<또 이미지 파일..
p.30
퍼스는 기호의 삼원적 특성에 따라서 기호를 다음의 세 가지로 나누고 있다. 첫째, 기호 그 자체(the sign in itself), 둘째, 대상과 관계하는 기호(the sign in relation to its objects), 셋째, 해석자와 관계하는 기호(the sign in realation to its interpreter)
현상 속에는 불가분해적인 요소가 3가지 있다. 실증적으로 전부인 것(positive totals) 결합을 포함하지 않는 것, 결합을 포함하는 것이 있는데, 여기서 중요한 것은 결합이다. 진정한 결합의 관념 그 자체는 제 3범주의 관념을 포함한다. 왜냐하면 결합은 삼원성이고, 삼원성은 결합이기 때문이다.
결국 퍼스는 '성질', '관계', '해석'의 세 가지 관련개념이 논리학에서 근본적이라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다.
p.31
성질-기호 : 하나의 순전한 성질, 모양, 색조를 지시
단일-기호 : 현실적으로 존재하는 사물 혹은 사태
법칙-기호 : 규칙이나 법칙인데, 모든 협약적 기호는 법칙-기호. 유형. 2.246
<<이얔 논증-기호가 심볼이래... 그리고 이건 순수 기호
p.34
퍼스는 순수 기호들(sybols)은 단지 논증일 분이라고 한다. 한편으로 순수기호들은 언표나 개념들처럼 일의적으로 합리적인 해석을 하지만, 여기-지금에 대한 대한 결정적인 정보도 제공해 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p.35
심상이나 개념들이 수행하는 연합에 대한 정보도 일깨워 주지 않는다.
다. 해석 기호
명제함수, 명제, 논증의 3분법은 기호들이 해석자에 의해서 표상되는 방식과 관계를 맺는다.
명제 함수는 명제의 한 번 형식이다. 그래서 " ( )은 철학자이다."라는 명제함수는 명제가 아니지만, 빈 곳이 고유명사로 채워질 때, 그것이 아무리 무의미하더라도, 하나의 명제가 될 수 있다.
>>그렇겠지 논항과 뿅뿅이 있는.. 주어와 서술부가 있는.. 그런 게 명제
명제는 표상된 것과는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한 제2범주의 표지-기호인 주어와, 제 1범주(혹은 성질)의 복사-기호인 술어로 구성되는 이중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기호로 기술된다. 이들 주어와 술어 부분은 만약 명제가 어떤 대상을 가졌다면, 그것은 대상과 제1범주(혹은 성질) 사이를 지시하는 제2범주의 표지-기호라는 방식으로 연결되며, 해석자에 의해서 표상된다. 다시 말하면, 명제는 '하나의 명제'로서 해석자에게 어떤 사실적 정보를 제공해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논리적으로 명제는 보다 기본적인 명제 함수에 의해서 정초된다.
>> ????? 내가 아는 개념이랑 다른듯??
한 명제는 하나의 복사-기호로서 보다는, 표지-기호로서 보다 정확히 해석되어야 한다는 사실이 참인 것처럼, 한 명제의 언표는 논증-기호를 요구한다는 사실도 참이다. 명제는 단어들 속에서 혹은 또 다른 협약적인 기호 속에서 언표될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한 명제는 "하나의 논증-기호로서의 명제이다"라는 사실에 동의해야 할 것이다.
논증은 그것을 해석하는 사람에게는 법칙-기호인 하나의 복합적인 논증-기호이다. 논증은 적어도 세 가지 명제로 구성된 하나의 "삼배수 혹은 합리적으로 설득할 수 있는 기호이다." 형식적 규칙성 혹은 추리의 법칙인 전통적인 삼단논법이 논증의 단적인 예이다.
명제함수, 명제, 그리고 논증은 상호 연관되어 있다. 기호론적으로 보면, 논증은 그 속에서 기호들이 그들의 해석자에 의해서 대표되는 근본적인 방식이다. 논증으로부터 명제들이 도출될 수 있으며, 명제로부터 명제 함수를 얻을 수 있다. "비관계적 명제함수" 예컨대 "( )는 죽는다"와 같은 표현은 "그것의 표지-기호 혹은 주어가 빈자리로 남겨졌거나, 혹은 미 결정인 하나의 명제에 지나지 않는다.
>> ????? 이해가 안 가 이 부분...
퍼스는 실재를 표명하기 위한 적절한 언어는 세 가지 종류의 기호, 즉 논증-기호, 표지-기호, 복사-기호를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여기서 논증-기호는 그 의미가 표지-기호로서 기능을 하는데 적합하면서, 복사-기호와 같은 활동을 하는 어떤 것이어야 한다.
>>즉 논증-기호는 지표 기호로서 기능을 하면서도... 아이콘 같은 활동도 한다는 거지
응???
<<뒷부분은 필요하면 읽자.. 뭔가 명제에 관해서도 다룬 논문인듯
'from논to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빠니샤드와 초기불교에서 업과 윤회 / 이거룡 (0) | 2013.10.10 |
---|---|
『주역』에서 제사의 재현성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 - 퍼스의 10개 기호 분류를 중심으로 / 박연규 (10/100) (0) | 2013.10.09 |
퍼스의 실재론적 프래그머티즘과 탐구 논리 / 김무길 (0) | 2013.10.08 |
관심 주제 기반 SNS의 사용자 경험 디자인 연구 / 김형진 (0) | 2013.10.03 |
메가트렌드와 컨버전스 미래사회 / 최항섭 (0) | 2013.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