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본 논문은 문화콘텐츠 관점에서 지역축제를 기획하는 문화기호학적 방법론을 소
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오프라인 영역의 대표적인 문화콘텐츠가 지역축제라고
생각한다. 지역축제는 지역의 역사문화자원을 콘텐츠로 구성하여 관광객들을 유치
하여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고, 지역의 이미지를 제고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즉 거시적인 관점에서 각 지역축제의 목적은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역의 이미지
를 제고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지역축제를 성공적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축제를
문화콘텐츠 개념으로 접근해야 한다. 축제를 구성하는 각각의 프로그램들을 개별적
인 문화콘텐츠로 고려해야 한다. 지역축제의 기획이 프로그램들을 나열하고, 성공한
지역축제의 유사 프로그램들을 벤치마킹하는 것에서 탈피하여 문화콘텐츠 개념으로
지역의 경제적인 부가가치를 전략적으로 창출해야 한다는 목적을 지향해야할 것이
다. 지역축제를 기획하는 지역축제 콘텐츠의 획일화, 유사성, 반복성 그리고 정체성
의 부재에서 탈피하여 수요자 중심에서 콘텐츠를 기획하는 새로운 인식이 필요한
시기이다. 따라서 이글의 목적은 지역축제를 기획하는 방법론을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지역축제의 정체성을 부여하기 위한 지역의 역사문화에 대한 문화원형
연구를 기반으로 다양한 축제 콘텐츠를 구축할 수 있는 리소스를 도출하고 축제를
구성하는 전략적 과정을 기획하는 방법론을 소개하는 것이다.
넒은 의미의 콘텐츠는 “부호, 문자, 음성, 음향 및 영상 등의 자료 또는
정보”1), “인간의 사고와 감정을 표현한 내용물로서 문자, 소리, 화상 등의 형태로 표현한
것”, 혹은 “그 장르가 영화든 문학이든 학습이든 뉴스든 저작권을 주장할 수 있는 모든 종류
의 원작”을 말하며, 좁은 의미의 콘텐츠는 “IT라는 정보기술을 이용하여 소비자에게 생산,
전달, 유통되는 상품”으로 분류하고 있다. 문화콘텐츠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정부기관의
콘텐츠 개념은 IT 정보기술을 중심으로 콘텐츠 제작과 개발을 통한 상업화에 집중하는
경향을 뚜렷하게 보여주고 있으며, 새롭게 신설되는 콘텐츠 관련 학계에도 방향을 제시해주
고 있다.
예컨대 문화콘텐츠진흥원의
문화원형 창작소재의 디지털콘텐츠화 사업에서 인문학자의 역할이 디지털콘텐츠 제작을
위한 창작소재를 제안하고 컨셉을 설정하는 역할에만 만족해서는 안된다. 문화원형 창작소
재를 제안하고 컨셉을 설정하는 단계에서 더 나아가 창작소재를 산업화하는 콘텐츠 마케팅
전략까지도 기획할 수 있는 방향으로 인문학의 영역을 확장해야한다.
>>이러한 (사업) 전략 기획은 인문학보다 차라리 사회, 경제 쪽이 아닐까? 사업 기획으로 느껴지는데 이것은... 인문학의 본질이 그런 것인가? 아니라서 영역 확장이라고 하는 것인가?
최근 문화콘텐츠학의 학제간 연구에서 다양한 이론과 방법론을 제공하고 있는 문화기호
학에서는 문화콘텐츠를 “문화기호들의 연쇄적 조합이 창출한 결과물로 커뮤니케이션의 다
양한 채널을 통해 상업화할 수 있는 재화이다”3)라고 정의
3) 백승국, 문화기호학과 문화콘텐츠 , 다할 미디어, 2004, 18쪽,
>>이러한 정의를 가져오는 것에서부터 알 수 있듯이, 이 논문의 전제는 상당히 사회, 경제적...
유럽 구조주의를 주도했던 레비 스토로스는 신화론 에서 문화를 구성하는 기호들을
통해 다양한 민족의 신화 구조를 분석하고, 자연과 문화로 구성된 민족사를 규명하려고
노력하였다. 그는 각 민족의 문화가 형성하는 신화를 구조(structure)와 형식(forme)으
로 이분화하고 문화를 구조적인 방법론으로 분석하는 시도를 하였다. 레비 스토로스의 문화
에 대한 구조주의 접근 방식은 언어학자 야콥슨과 러시아의 형식주의자 프롭의 커다란 영향
을 받았다. 최근 파리기호학파의 기호학자들은 레비 스토로스의 구조주의적 분석방법론을
활용하여 문화 트렌드를 파악하는 방법론 개발에 관심을 갖고 있다. 그의 신화 분석은 문화
권에 따라 각기 달리 형성되는 문화 트렌드가 생성되고 소멸되는 과정을 구조적으로 접근하
는데 효용성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문화기호학의 분석도구를 활용하여 지역축제의 정체성과 지역축제를 구성하는 다양한
미시콘텐츠를 진단하는 분석방법론을 구축하고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가치와 에
듀테인먼트(edutainment) 가치를 구현하는 전략으로 축제의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축제콘텐츠의 기획 프로세스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축제콘텐츠의 기획 방법론을 위해 문화기호학적 기획 프로세스 모델을 활용할 것이다.
첫째 축제콘텐츠의 문화원형에 대한 연구이다.
둘째 지역축제를 구성하는 콘텐츠에 대한 질적인 분석인 유사콘텐츠 분석을 시도하여
축제콘텐츠의 리소스를 구축하는 것이다.
셋째 축제콘텐츠 개발을 위한 ‘콘텐츠 컨셉 설계’ 과정이다.
넷째 교육 콘텐츠의 인터랙티비티(interactivity)를 확보하는 단계이다.
>>여기에서의 인터랙티비티는 어느 정도의 층위인 것인가..? 진정한 인터랙티비인가?!
스토리텔링 도식 설명
첫째 축제의 문화원형 연구 단계이다.
둘째 축제콘텐츠의 스토리화 단계이다.
셋째 콘텐츠 스토리의 멀티미디어화 단계이다.
넷째 스토리의 감각화 구축단계이다.
마지막으로 축제콘텐츠 기획 프로
세스 모델은 다양하고 많은 학문적 담론을 조성시킨다는 것이다. 다양한 학문에서 축제콘텐
츠의 연구 및 기획에 있어서 학문적 담론들이 조금씩 진행되고 있지만 구체적인 틀과 기준이
없기 때문에 각 학문간의 이론들이 유용되거나 통용되는 경우는 극히 드믄 것이 현재 실정이
다. 그래서 축제콘텐츠 기획 프로세스 모델은 다양한 학제간의 학문적 담론이 가능한 기준과
구체적인 방법론으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이며 그로 인해서 다양하고 많은 학문적 담론이
조성될 것이라 기대한다.
'from논to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비-스트로스의 신화분석을 통해서 본 사유의 보편적 구조에 관한 연구 / 박선영 (0) | 2015.08.14 |
---|---|
불가리아의 의례 문화에 나타나는 정교와 민간 신앙적 요소 연구 / 김원희 (0) | 2015.08.11 |
공동경험 구성과정에 대한 설명가능성 / 김경애 (0) | 2015.06.21 |
축제주도집단에 따른 축제성의 발현양상 / 홍사열 (0) | 2015.06.21 |
<콜렉터>의 주인공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연구 / 도세영, 나병우 (0) | 2015.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