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m논to문

상호주관적 의미이해론에 관한 고찰 : 슈츠와 하버마스를 중심으로 (1)

snachild 2014. 12. 25. 18:39

 

상호주관적 의미이해론에 관한 고찰 : 슈츠와 하버마스를 중심으로
최연아, 이화여자대학교,[2000] [국내석사]
간략보기 원문보기 복사/대출신청 장바구니담기

 

 

사회현상의 '본질적' 이해를 위해 요구되는 가장 기초적인 자료는 '객관적인 사실'이라기보다는 현상 또는 대상이 지닌 의미를 규정하는 개인들의 '주관적 인식'에 대한 '이해'를 통해서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정창수, 1996:83)

 

 

>>슈츠나 하버마스나 다 사회학자인 것 같은데 내가 쓰기에 괜찮을까...

 

 

 p.10

 

 후설은 .... 선지식의 세계로서의 생활세계

 

 반면, 슈츠는 경험적 생활세계의 자연적 태도를 연구대상으로 삼았으며, 생활세계 내에서 행위하는 개인의 의미구성과 이해 과정을 분석하여 사회현상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20)

 

 

--

 

B. 의미 이해와 상호주관성

 

 슈츠는 의미 이해의 정당성이 생활세계의 상호주관성을 근거로 성립한다는 것과, 행위자들의 의미 이해행위가 생활세계의 의미구조를 구성하는 자원이라는 것을 규명하였다. 즉, 슈츠의 의미이해론은 생활세계를 토대로 한 상호주관성 이론이다.22)

 

 22) 슈츠는 사회학적 현상을 이해할 수 있는 생활세계의 선험적 구조를 해명하고 있다.(Heap & Roth, 1973:362)

 

 

 

 

p.16

 

슈츠의 행위개념은 베버의 행위개념을 비판하고 후설의 행동개념을 수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행위는 시제에 따라 구성이 오나료된 행위와 구성되고 있는 행위... 행위의 완료형은..

 

슈츠는 행동 또는 행위 이전의 차원으로 경험(lived experience)을 고려한다.

 

p.23

 

 슈츠는 이해를 '의미와 상호관련되는 이해'로 간략히 정의한다. 모든 이해는 ... 의미와 관계되는, 자신의 주관적 경험에 대한 해석들인 주의의 행위와 자기해석에 기반하는 의미파악을 '이해'로 명한다.

 

 '이해'에 대한 정의를 기반으로 슈츠는 타자이해를 세 가지 수준으로 제시한다. 자연적 태도, 너에 대한 나의 경험, 너의 주관적 경험... 이 수준들은 타자이해의 최고 수준인 진정한 타자이해에 도달하는 전체 과정에서 단계적으로 위치한다.

 

 

 

p.27

 

 나. 상호주관성의 근거 : 생활세계의 공통성

 

 지금까지 행위자와 해석자의 의식과정에서 의미 이해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슈츠가 규명한 생활세계에 관한 논의들은 상호주관성의 근거로 제시된다. 이는 기호와 기호체계의 관계로 분석되는 언어와 공통적 지식으로 제공되는 상식을 행위자

 

 

p.28

 

루크만(Thomas Luckmann)은 <생활세계의 구조>에서 슈츠가 언어의 사회적 기능에 주목.. 객관화된 의미체계...

 

 

p.30

 

생활세계는 자연적 태도로 당연시하는 세계이다. 한편으로는 생활세계를 일상인의 상식적인 의미의 세계.. 일상생활의 세계는 개인에게는 처음부터 문화세계로서 의미세계이며, 개인들이 세계 속에서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세계가 지닌 의미연관을 해석해야 한다.

 

 

p.31

 

다. 상호주관적 생활세계에서의 타자이해

 

 

p.32

 

생활세계는 시간성과 공간성을 기준으로 구별되고 있다. 우선 시간성을 기준으로 할 때, 나와 시간적인 동시성을 갖는 사람들의 세계, 즉 선대인(predecessors)의 세계로 구분된다. 여기에 다시 공간적 직접성이라는 기준을 적용시켜서, 동시대인들의 세계는 직접경험의 영역과 간접경험의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물론 선대인의 세계는 간접 경험의 영역이다. 슈츠가 직중적으로 규명하고 있는 영역은 동시대인들의 직접경험의 영역이다. 슈츠는 상호작용의 동기맥락이나 그에 대한 지식 자체는 직접적 사회관계에서 타당성을 얻는다고 보았다. 모든 사회관계는 직접적 사회관계의 변형이며, 후자로부터 전자가 연역된다는 것이다. 지금부터 생활세계의 관계구조 안에서의 의미 이해에 관해 살펴보겠다.

 

 직접대면 관계는 시.공간적 공동체를 공유하는 경우...

 이 관계는 '너-지향(Thou-orientation)52)을 행하는 경우에 구성... 슈츠는 이것을 '우리관계'라고 칭한다(Schutz, 1967:1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