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m논to문

상호주관성에 바탕을 둔 화법 교육 연구 / 김윤옥 (0.5)

snachild 2014. 12. 25. 18:15

 

상호주관성에 바탕을 둔 화법 교육 연구 = (A) Study on The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based on intersubjectivity
김윤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2007] [국내박사]
간략보기 원문보기 복사/대출신청 장바구니담기

 

표현하고 싶은
자기의 주관2)이 있고 이 주관은 상대방의 주관에 제대로 전달되어야 한다. 이렇게
자기의 생각 곧, 자기 주관과 타자의 주관인 ‘타주관’이 만나 상호주관이 형성될 때
진정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말하기는 단순히 자기의 생각만을 타
자에게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관계를 형성, 증진해나가는
의미 나눔의 과정이기 때문이다.

 

화자의 ‘주관’과 청자의 ‘주관’이 공유되는 ‘상호주관’의 형성이 화법의 목적
이자 본질로 볼 수 있다.

 

 

의사소통상에서 상호주관성을 인식한 철학자로 대표적인 사람은 하버마스(Jurgen
Habermas)이다. 하버마스는 비트겐슈타인(L. Wittgenstein), 오스틴(J. L. Austin), 설
(J. Searle) 등의 언어철학의 성과들을 그리고 사회과학의 고전적 이론과 새로운 연
구 성과들을 재구성함으로써 자신의 의사소통행위이론을 수립할 수 있었다(설현영,
1999). 하버마스(2006)에서는 의사소통 이론의 패러다임을 주체와 객체의 관계가 아
니라 주체와 주체와의 관계가 중심이 되는 것으로 보면서, 객체의 조종과 인지에 대
한 일정한 행위가 어떤 의미를 갖는가에 대하여 상호이해에 도달하는 문제를 핵심으
로 보았다. 그는 이성은 주체와 주체의 관계이며, 이러한 주체들이 공유하고 이해하
는 상호주관성이 중심적인 현상이고, 상호주관적 관계는 말하고 행위하는 주체인 인
간이 어떤 대상에 대하여 서로 간에 이해에 도달할 때만이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그
리고 인간의 행위를 목표 중심이냐, 상호이해 중심이냐에 따라 전략적 행위와 의사소
통적 행위3)로 나누고 있다. 이러한 하버마스의 논의는 교육의 목표는 의사소통적 행
위를 지향하나 실제 내용은 전략적 행위를 교육하는 현행 화법 교육에 많은 시사점
을 준다.

 

‘나’와 ‘너’의 관계에서 상호주관성을 말하는 부버(Buber, 1954)에서는 인간이란 결
코 홀로 그리고 독자적으로 실존하는 것이 아니라 항상 다른 인격과의 공존적 관계
속에서 실존한다고 하면서 상호성을 포함하지 않은 것은 도무지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따라서 만남은 ‘나’와 ‘너’의 존재론적인 ‘사이’에서 성립하며, 이 ‘사이’에서
서로가 서로를 선택하고, 서로가 서로에게 선택당하는 상호관계 또한 전존재를 건 행
위이기에 수동인 동시에 능동인 상호관계를 ‘상호주관성’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부버
는 사람의 태도를 그 사람이 말하는 근원어의 두가지 성질로 구분하는데 하나는
‘나’-‘너’이고 또 하나는 ‘나’-‘그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나’-‘너’라는 근원어는 온 인
격을 기울임으로써 비로소 말할 수 있지만 ‘나’-‘그것’이라는 근원어는 온 인격을 기
울여서 말할 수가 없다고 하면서 ‘나’와 ‘너’의 상호주관성을 강조했다. 부버의 철학은
사람들의 인격적인 만남과 인식차원에서 시작해야 하는 화법의 특성을 잘 설명해 준
다. 또한 인간 존중 및 화법의 교육 목표 설정과 방법에 많은 시사점을 준다.

 

 

김성동(1993)에서는 서양철학의 상호주관성을 연구하여 주관과 상호주관을 데카르
트주의와 비데카르트주의로 나누어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그러면서 주관은 주관주
의(객관주의) 철학에서처럼 단순하게 주관이냐 객관이냐로 판단될 수 없으며, 주관은
이를테면 오직 ‘상호주관적’일 뿐이라고 주장한다. 이때 ‘상호주관적’이라는 말은 주관
이 언제나 다른 주관을 통해서 주관으로 성립하며, 주관의 주관으로서의 활동 또한
언제나 다른 주관과의 관계에 입각하는 상대적으로 주관적인 활동에 불과하다는 의
미이다. 상호주관주의 철학은 바로 이 같은 인간의 존재방식에 대한 통찰에 근거하
여, 주관주의적으로 왜곡된 지식으로부터 인간의 자유와 그 같은 주관중심주의를 벗
어나는 인간의 성숙을 이상으로 제시한다.
이처럼 상호주관성은 자기주관과 타주관이 만나 형성되는 공유된 주관, 공통된 인
식으로 볼 수 있다. 화법은 화자와 청자 사이에 일어나는 의미공유 행위이다. 화자는
말하기 준비과정에서부터 청자와 말하기 상황을 고려하고 분석하게 된다. 이것은 화
자의 주관이 말하기 준비과정에서 뿐만 아니라 말하는 중, 말한 후에도 늘 청자를 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