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백소설 관련 선행 연구 ... 대부분의 연구들이 1인칭 소설을 고백소설로 정의하고 있으며, 그 연구의 경향은 주로 고백소설의 서술 형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음을 알게 되었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3인칭 형태로 된 작품도 고백소설의 범주에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고백소설의 유형과 담론 양상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한다. 고백소설을 고백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중심으로 서술자 고백자 우위의 소설, 경험적 고백자 우위의 소설 그리고 서술적 고백자와 경험적 고백자 혼재의 소설로 나누어, 그러한 예에 해당하는 작품을 통해 각각의 특징을 살펴본다.
고백소설의 담론 양상은 계몽으로서의 고백, 형식 실험으로서의 고백, 유희로서의 고백으로 설정하였다.
..고백소설은 개인의 내면 탐색이 주요하게 이루어져야 하는 자전적 소설과 예술가소설로 분화되어 나타난다.
고백소설은 근대문학의 태동기와 형성기에 쓰여진 주요한 양식 중의 하나이다. 곱개소설이 근대문학의 초기에 나타난 것은 한국문학뿐만 아니라 서구의 문학이나 일본문학에서도 같은 현상을 보인다. 이러한 것이 일반적인 양태일 때, 고백소설이 근대문학기에 등장한 이유는 무엇이며, 고백소설은 근대성을 어떠한 형태로 담지해내고 있는가를 살피는 것은 고백소설 연구에서 의미 있는 작업일 것이다.
>>고백체라는 것이 어떤 확립기, 형성기에 유효한 서술 방식일 수 있다는 것인가.. 청자 호소적인...
고백에는 먼저 자기에 대한 성찰이나 인식이 선행될 수박에 없다. 말로 무엇인가를 고백하는 경우에도 고백하는 주체는 자신의 사고나 행위에 대한 성찰을 한 후 자신의 내면을 직접적인 방식으로 그리고 구체적으로 드러내게 된다.
고백과 내면의 관계에 대해서는 가라타니 고진의 설명 .... 일본 근대문학 .. 고백의 형식과 함께 시작.. 그것은 단순한 고백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형식이었고, 오히려 이 형식이 바로 고백해야 할 내면을 만들어냈다2)고 하는 논리... 고백이라는 형식이나 제도가 고백해야 할 내면 또는 '진정한 자기'라는 것을 만들어냈다
박재섭.... 고백소설의 내용을 자기 동일화의 정도에 따라 혼미형, 비판형, 성취형 고백소설로 나누고, 그에 따른 수사적 특성을 찾아내려는 시도...
개인의 내면성과 역사적 현실과의 상관성을 제시...
고백소설의 작품 분석에서는 제라르 쥬네트와 채트먼의 서사이론...
고백소설의 유형을 분류.. 고백소설의 내적 형식
고백소설 담론의 특성을 공동체를 대표하는 고백 대상자, 내면의 간접화와 사회의 발견, 근대적 자아의 확립
테렌스 두디는 "자신의 본질을 독자에게 설명하는 개인의 신중하고 자의식적인 시도인데, 그 독자는 그가 존재할 필요가 있고 그를 규정하는 공동체를 대표한다"
라이크는 "고백에 의해 우리는 우리 스스로를 알게 된다. 그것은 자기 이해와 자기 수용의 최상의 가능성을 제공한다35)"고 얘기했다. 고백에 의해 스스로를 알게 된다는 라이크의 말은 고백을 통해 자신의 본질을 설명한다
Thoedor Reik, The Compulsion to Confess : on the Psychoanalysis of Crime and Punishment
두디 책 p.7에서 재인용
고백은 작가의 문학적 형상화를 거친 장치
고백의 형식이 드러나는 소설, 곧 독백, 일기, 편지, 유서, 대화 등의 형식으로 된 소설...
편지는 '나'라고 하는 발신자와 '너'라고 하는 수신자를 연결하는 개인적 문자 소통 양식으로 나와 너 사이의 시간적, 공간적, 심리적 거리감을 뛰어넘어 정보를 전달하거나 개인의 심경을 고백하는 글쓰기이다. 일정한 관계 속에 있는 특정 수신자를 상정하고 있기 때문에 발신자는 다른 형식의 글에서는 표현하지 못할 자신의 심리 변화나 갈등을 적나라하게 고백할 수 있고, 수신자는 이에 대해 진실과 감동을 느낄 수 있다.45)
>>두디는 고백체와 일인칭 소설, 자서전의 차이가 [자기 표현의 다른 양식들] .. 독자에게 다른 의도와 다른 태도를 ... 이거라고 봄 > 두디 책 4-5면
자아에 대한 탐구를 형식으로 보여줄 수 있는 것이 고백체라는 제도적 장치이다.
이후 제도적 장치로서의 고백에서 자생적 고백으로의 이행도 나타난다.
프라이... 산문 픽션의 하위 분류
조남현 ... 고백이 자전적 소설, 사소설, 성장소설, 발전소설과 같은 유형으로 구체화 .... 프라이와 조남현의 논의는 고백소설을 외적 형태로 구분한 것
본고는 고백소설의 내적 형식을 기준으로 분류하려 한다. 화자에 따라 어떤 대상을 '서술하는 나'와 '서술되는 나'가 생겨나게 된다. 이것은 곧 서술적 고백자와 경험적 고백자가 되는 것이다. 현재의 상황을 서술하는 것이 중심이 될 때는 서술적 고백자로, 과거의 사건을 서술하는 것이 중심이 될 때는 경험적 고백자로 나눌 수 있다.
1) 서술적 고백자 우위의 소설
서술적 고백자 우위의 소설에서는 서술되는 사건이나 심경이 현재 서술하고 있는 화자의 위치에서 고려된ㄷ. 과거의 사건을 이야기할 때에도 그것이 고백자에게는 현재의 삶과 사고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고백자는 스스로 자기 반성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찾기 위한 시도를 한다.
2) 경험적 고백자 우위의 소설
고백소설 중 화자가 과거에 있었던 자신의 어떤 사건 속의 자아에 초점을 맞춰 서술하는 소설이 있는데, 여기서는 서술적 화자보다 경험적 화자의 행동이나 감정을 드러내는 것에 중심을 둔다.
2. 고백소설의 내적 형식과 담론 양상
계몽으로서의 고백, 형식 실험으로서의 고백, 유희로서의 고백
Ⅳ. 한국 근대 고백소설의 담론 특성
1. 공동체를 대표하는 고백 대상자
행동의 본질 속에 고백 대상자를 포함하는 형식적 의도가 있다는 점을 계속 지족하려는 이유에서이다.136)
테렌스 두디에 의하면 고백소설을 다른 일인칭 소설로부터 구별하게 해주는 것은 고백 대상자의 존재이다. 고백을 하게 될 때는 반드시 고백 대상자를 선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고백의 대상자는 고백하는 사람이 속하고 싶어하는 어떤 공동체를 대표하는 사람이 된다는 것이다. 고백을 하는 의도 중의 하나가 자신의 사고 방식과 행동을 다른 사람들로부터 인정받고 싶어하는 마음이 있는데, 고백을 하는 사람이 인정받고 싶어하는 대상은 그가 이전에 속했던 집단, 또는 속하고 싶어하는 어떤 공동체를 대표하는 사람을 선택하게 된다.
고백의 수사학은 공동체를 형성하는 고백 대상자의 협력을 이끌어내기 위한 시도이다.
고백이 단순히 자기 표현, 또는 단순히 자신의 생각을 숨깅벗이 말하기라는 것은 있을 수 없다. 고백은 자기 승인을 고백의 대상자에게 요구하는 행위이다.139)
서구의 고백소설은 반드시 고백체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작품 내에 고백적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고백소설로 구분한다. 특히 Les W.Smith의 『Confession in the Novel』에서는 '부재하는 고백 대상자(The Absent Confessor)'라는 장을 설정하여 ...
그러므로 특정한 고백의 대상자를 선택하지 않고 고백을 시작하는 작품들은 그 대상자를 당사자의 또 다른 자아나 일반 독자로 보며 고백소설의 범주 안에 포함한다.
권성우 자전적 소설의 두 가지 양상, 1995
권택영, 투영된 자아를 통한 고백, 1997
김용재, 한국 근대소설의 일인칭 서술상황 연구
김윤식, 자전적 사소설 형식의 창출, 1991
김윤식,고백체와 소설형식, 1989
정혜영, 고백의 형식과 자아의 발견, 1998.
최혜실, 1930년대 한국 모더니즘소설 연구, 1991.
'from논to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근대 고백소설의 형성과 담론 양상 / 유홍주 (1) (0) | 2014.10.09 |
---|---|
근대단편소설의 고백담론 연구 / 이영주 (1) (0) | 2014.10.08 |
1900~10년대 한국 근대 고백적 단편 서사의 양상 연구 / 우정권 (90/100) (0) | 2014.10.08 |
고백의 서사와 이야기하기의 욕망 / 박춘희 (0.5) (0) | 2014.10.07 |
고백문학과 정체성의 정치 / 문지희 (0.5) (0) | 2014.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