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check

독서행위 // 볼프강 이저, 이유선 옮김

snachild 2014. 9. 15. 22:07

 

 

1. 문제 상황

 A. 영향이론을 위한 예비적 숙고

   2. 독자 개념과 내포독자 개념

 

 

 p.67 ~

 

 문학의 영향과 수용 - 독자전형

 

 당대독자

 이상독자들

 

 독자를 통한 문학 수용

 

 

 작품들에 내려진 평가는 당대독자의 특정한 태도, 견해, 규범을 반영

 이 평가들을 제한하는 문화적 약호가 문학이라는 거울에 나타나게 된다.

 

 수용사는 독자의 평가규범을 밝히는 것

 

 당대독자를 때때로 전승된 텍스트에서 재구성할 수 밖에 ㅇ벗다

 이것은 당대독자의 재구성으로 이해되어야 하는지, 아니면 오히려 독서대중을 조정했을 텍스트로부터 도출될 수 있는 역할들의 서술인가 아닌가 하는 의문...

 

 탐구된 독자는 하나의 다른 '기반'에 기초한다.

 실재 독자의 증언 대신에 텍스트 구주 속에 그 뿌리를 갖는 것이다.

 

 

>>> 수용미학의 독자가 실제적인 당대 독자를 하나하나 보는 게 아니라 텍스트를 보고 이로부터 독자 개념을 구성해 낸다는 것을 알 수 있는 대목

 

 

 당대독자 <----상반되는 정반대점-----> 이상독자

 

 

 이상독자는 작가와 동일한 약호를 소유해야만 할 것

 >>그러면 소통은 잉여적이겠지 결국. 발신자와 수신자 약호의 불일치에서 야기되는 것을 소통으로 중재하는 건데 어차피 발신자 수신자 약호가 동일하다면~~

 

 이상독자는 다른 독자 전형과 달리 하나의 허구이다. 이와 같이 이상독자는 현실적인 기저를 갖지 못하지만 바로 여기에 그의 유용함이 기초한다. 왜냐하면 허구로서의 이상독자는 문학의 영향과 수용의 분석에서 언제나 다시 터지는 논거의 틈들을 메꿔 주기 때문이다.

 

 

 제일의 독자 - 리파테르

 정보를 가진 독자 - 피쉬

 의도된 독자 - 볼프

 

 

 

제일의 독자 - 리파테르

 일종의 "정보제공자 집단"

 이 집단은 공통된 반응틀 안에서 하나의 "양식적인 사실들"이 있음을 증명하기 위해서 "텍스트의 매듭자리"에서 언제나 다시 만난다

 정보제공자의 수를 늘리면서 리파테르는 개별독자들의 여러 가지 다른 성향들의 ㅁ고록에ㅓ 불가피한 주관적인 변동폭을 없앨 ㅜㅅ 있다고 믿었다.

 

이론의 한계 : '문체적 사실'은 단지 감지하는 주체를 통해서 결정된다. 텍스트 내적인 대비의 겨령된 공식표현의 가능성이 단지 독자에게서만 실현될 수 있음여..

문체적 사실을 파악하기 위한 시험개념이기는 하나 동시에 그 개념들은 '문체적 사실'들이 그 준거대상을 가질 수 없는 것을 해결하기 위해서 바로 독자가 필요하다는 중요한 암시를 하고 있다능

 

 텍스트의 변화하는 약호화 밀도에서 문체적 사실의 발견에 소용되는 시험적 개념 (p.76)

 구조주의적 문체론

 

 

 

 

정보를 가진 독자 - 피쉬

 

 첫째 텍스트를 만들고 있는 언어의 구사자이어야 하며

 둘째 완벽한 ... 수신자가 이해라는 직무에 투입되는 의미론적 지식을 오나벽하게 소유해야 (의미 숙어 방언 지식 알고 있는 애들

 셋째, 문학적 자격을 갖추어야 하는.. 하나의 현실적 독자로서 그의 정보입수 능력 안에서 모든 것을 행한다

 

 변형문법의 모델을 따르고 있다

 표면구조 - 심층구조

 

 

 표면구조는 독자에게서 하나의 사건적 행위를 만들지만,

 

 이론적 한계 : 텍스트 소화가공과정을 단순히 텍스트 문법에 귀속시켜서 사건 행위를 빈곤화시킴

 윤곽은 납득되기 쉬우나 관련틀을 상실하고 뿌리내리기는 어려운 가설로 변화

 

 생성변형문법 기반(p.76)

 

 

 

 

 

 의도된 독자 - 볼프

 

 "작가의 정신 속에서 형성된 독자개념"의 재구성

 이상화된 독자의 모상일 수 있으며, 당대독자의 규범과 가치목록을 만힝 선취하는 것에서, 독자의 개별화 속에서, 독자호출에서, 입장부여들, ...

 텍스트에 기입되 독자허구로서의 의도된 독자에서는 당대의 독자관 뿐만 아니라, 그 개념에 근접하려다가는 곧 다시 이에 영향을 미치려 하는 작가의 노력이 나타난다.

 

 이 개념을 규정하는 데에는 텍스트의 독자허구를 그 범위와 기능에서 평가하기 위해서 비교적 당대독자와 일반독자의 사회사에 대한 해박한 지식이 필요하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도 각각 약정될 수 있는 독자허구는 작가가 통하려 하거나 말하고자 했던 독자층의 재구성을 허락한다.

 텍스트의 서술형식과 의도된 독자는 상호작용한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의도된 독자상에는 텍스트 생산 당시에 작가가 볼 수 있었던 역사적 사실의 뉘앙스가 들어있다.

 

 

 독자허구는 텍스트에서 소설의 화자, 인물들, 사건줄거리로서 텍스트 소그이 다른 시점들로부터 고립되거나 무관하지 않은 특정 신호목록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독자허구는 다른 시점드로가 상호작용관계로 함께 묶여 있는 텍스트 시점들 중의 하나일 뿐이다. 이에 반해서 독자역할은 그 시점들의 합주로부터 비로소 결과되어 나오며, 다시 말해서 독서라는 조정된 활동 속에서 전개되기 때문에 텍스트의 독자허구는 어넺나 독자역할의 한 측면일 수밖에 ㅇ벗다.

 

 

 구성적 개념으로 작가가 향했던 저 역사적인 일반 독자의 성향들을 발굴하게 한다.

 문학사회학 기반 (p.76)

 

 

 

 

>>의도된 독자가 내가 찾던 것에 제일 가깝넹

 

 

 

어떠한 독자인가... 순수구성물인가 하나의 경험적 기반에 기초하는가?

 

 텍스트에 기입된 내포독자의 구조

 내포독자는 실제적 존재를 가지지 못한다.

 왜냐하면 내포독자는 허구 텍스트가 그의 가능한 독자들에게 수용조건으로 제공하는 예삐기준의 총체를 구체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내포독자는 경험적 토대에 고정된 것이 아니라 텍스트구조 자체에 기초한다.

 

 내포독자의 개념은 수신자가 이미 언제나 상정된 텍스트의 구조를 가리킨다.

 

 

 독자역할은 그 자신을 텍스트 구조로서, 하나의 행위구조로 규정짓는다.

 

 

 

 문학텍스트는 세상에 대한 작가의 시점적 견해 ... 소설은 일종의 시점적 설치시설을 갖는데, 이것은 서로 명백히 구별되는 화자, 인물, 줄거리(플롯)와 독자허구의 시점소지자로 구성된다.

 

 

 소설 시점적 설치시설

 화자, 인물, 줄거리, 독자허구의 시점소지자

 텍스트 시점들

 

 텍스트 시점의 지시지평

 

 독자역할은 모든 독자에게 그들이 서로 갈라져 가는 텍스트 시점들의 기준구심점을 시점성의 체계로 종합하여, 개별 시점에서 각각 재현된 의미가 동시에 드러나게 할 수 있기 위해서 그에게 주어진 관점을 갖도록 요구한다.

 

 

 <<내포독자부터 이해가 잘 안감ㅠ

 

 

 내포독자는 텍스트가 역사적, 개인적으로 다양하게 활성화되는데, 이를 그 특별함 속에서 분석할 수 있기 위해서 관계지평을 마련해 주는 개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