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m논to문

최인훈 희곡에 나타난 미토스 연구 / 노승욱 (1)

snachild 2014. 5. 25. 21:26

최인훈 희곡에 나타난 미토스 연구 = A Study on Mythos in Choi In-Hoon's Play: Focusing on Mythological and Archetypal Criticism by Northrop Frye

노승욱(Roh, Seung-Wook) (인문콘텐츠, Vol.- No.31, [2013])[KCI등재]
간략보기 원문보기기관내무료 복사/대출신청 장바구니담기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최인훈의 희곡을 노스럽 프라이가 제시한 신화원형비평의 언술형식인
미토스(mythos)를 통해 분석함으로써 최인훈 희곡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신화원
형적 구조와 주제를 규명하고자 했다. 최인훈은 자신이 창작한 희곡 모두에 한국과
세계의 설화를 수용해서 작품의 주제의식에 맞춰 변용한 후에 공연예술의 텍스트인
희곡으로 창작했다. 최인훈의 희곡에서 변용되어 재구성된 설화는 원전 설화와 함
께 문화원형 아카이브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 미토스는 네 계절의 상징성과
결부된 네 개의 문학 양식으로 구분되는데 이는 신화원형이 갖는 순환적ㆍ재생적
특징을 보여주는 것
이다. 최인훈이 신화원형적 구조와 주제로 희곡을 창작한 것은
현실의 모순과 이분법적 갈등을 설화가 갖고 있는 보편적ㆍ원형적 상상력의 공간
속에서 극복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미토스의 기본적 형식은 사계절의 상징성과 결부된 네 개의 순환 양식, 즉 희극,
로만스, 비극 그리고 아이러니와 풍자로 구체화된다. 최인훈 희곡의 구조와 주제는
네 개의 미토스가 나타내는 각각의 특징과 부합하고 있다. 즉 봄을 상징하는 희극과
여름을 상징하는 로만스의 미토스를 통해서는 원형적 이상세계의 실현이, 가을을
상징하는 비극과 겨울을 상징하는 아이러니와 풍자의 미토스를 통해서는 왜곡된
현실세계의 비판이 각각 주제화되고 있다. 이는 쇠락과 소멸의 겨울 뒤에 다시 재생
과 부활의 봄이 오듯이, 현실의 비극적 파국과 모순적 상황 속에서도 새로운 가치의
발견과 이상의 추구가 계속됨을 상징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주제어: 미토스, 신화원형비평, 설화, 문화원형 아카이브, 희극, 로만스, 비극, 아이
러니, 풍자

 

 

 최인훈에게 있어서 희곡양식으로의 전환은 단순한 창작 장르의 전환이라는 의미를 넘어
서 세계관적 인식의 변화 양상과 관련된다.5) 즉 주체적 해석을 통한 설화의 수용과 변용을
통해서 신화적 공간을 확보하고 이를 통해 현실을 재해석하여 궁극적으로는 관념과 현실,
과거와 현재 등의 이원적 구분을 일원화하여 자아와 세계의 갈등을 해소하려는 인식론적인
지향성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프라이는 신화원형비평에서 가장 중요한 체계로 인식되는 봄, 여름, 가을, 겨울 혹은
아침, 낮, 오후, 저녁이라는 시간의 순환성과 상징성이 어떻게 원형적 이미지 구축에 토대
역할을 하는가에 주목했다.13) 그는 신화원형의 이미지와 구조를 미토스란 언술형식을 통해
담아내고자 했다. 그가 개념화한 미토스는 특히 희곡의 양식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기에
최인훈 희곡작품의 구조와 주제를 드러내기에 유용한 방법론이라고 할 수 있다. 최인훈
희곡의 구조적 특징이 신화원형적 상징의미와 조화를 이루는 계절의 순환에 있다고 했을
때,14) 역시 계절의 순환적 구조를 주기성으로 삼는 미토스를 통한 분석은 최인훈 희곡의
전체적 구조와 궁극적 주제를 규명하기에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일반적인 의미에서 희극이 경직되고 모순된 상황 속에서 골계미를 드러내
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면,16) 미토스로서의 희극은 부조리하고 비극적인 상황 속에서
새로운 가치를 발견하고 모순적 운명을 극복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희극과 비극은
각각의 요소가 상호적으로 개입되는 경우가 있기에 어떤 특징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
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데,17)

 

 

노스럽 프라이의 신화원형 이론의 기본적인 형식은 반복적 순환운동(cyclical movement)
이다. 성공과 쇠퇴, 수고와 휴식, 삶과 죽음의 교체가 이 과정의 변화 양상이라고
할 수 있다.19) 이때 순환적인 반복운동은 단순한 자연의 변화가 아닌, 자연 내에 존재하는
질서의 원리를 의미한다.20) 프라이는 반복적 순환의 패턴을 네 개의 미토스로 구분하면서
다시 이를 사계절의 상징성과 연결시켰다. 프라이는 봄ㆍ여름ㆍ가을ㆍ겨울의 사계절 이미
지를 희극ㆍ로만스ㆍ비극ㆍ아이러니와 풍자의 이야기 범주와 대응시키면서 이를 미토스라
고 지칭했다. 그리스어에서 차용한 용어인 미토스는 기본적으로 신화체계를 물려받은 문학
의 플롯 또는 이야기의 화술을 의미한다.21)

 

프라이가 제시한 네 개의 미토스, 즉 희극, 로만스, 비극 그리고 아이러니와 풍자는 신화
원형비평적 언술이 나타내는 네 개의 형식이라고 할 수 있다. 승리의 환희 속에 새롭게
도래하는 사회를 인지하는 아나그노리시스(anagnorisis) 혹은 인지(recognition)
는 희
극의 원형적 주제이다. 놀랍고 신기한 모험의 연속을 기반으로 하는 아곤(agon) 혹은 갈등
(conflict)
은 로만스의 원형적 주제이다. 승리와 패배의 결과에 관계없이 파토스(pathos)
혹은 파국(catastrophe)
은 비극의 원형적 주제이다. 영웅적 자질의 결여와 운명적인 패배,
혼동과 무질서가 지배하는 세계에 대한 의식(sense) 혹은 스파라그모스(sparagmos)

아이러니와 풍자의 원형적 주제이다.22)

 

22) Northrop Frye, “Archetypal Criticism: Theory of Myths”, Anatomy of Criticism,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57, p. 192.

 

 봄의 미토스인 희극은 현실도피가 아니라 현실대안의 문학적 원형이다. 그것은 희극이
바람직한 사회의 형태뿐만 아니라 그 반대적 모습도 함께 제시하고 있기 때문이다.23) 세익
스피어의 희극이 설명하듯이 희극은 인간의 삶이 모방하고자 하는 진실된 세계를 바라보게
하는 문학의 원형적 기능을 갖고 있다.24) 여름의 미토스인 로만스는 모든 문학의 형식
중에서 소원충족의 기능을 가장 잘 나타낸다. 로만스의 세계에서는 도덕적인 주인공과 아름
다운 여주인공이 지배하는 이상적 가치를 위협하는 악인들이 등장한다. 상상적인 황금시대
를 찾고자 하는 집착을 보이는 로만스에 있어서 본질적인 요소는 모험이라고 할 수 있다.25)
인간의 성격을 자연스럽고 진실된 모습으로 문학 속에서 인식하게 된 것은 일반적으로
그리스 문화의 비극을 통해서이다. 행복한 결말을 맞이하는 희극의 인물이나 몽상적인 로만
스의 인물, 그리고 희화화된 풍자의 인물과는 달리, 가을의 미토스인 비극에서는 주요 등장
인물들이 꿈과 환상으로부터 해방된다.26) 전형적인 비극의 주인공은 운명적 수레바퀴의
정점에 위치하고 있으며,27) 비극의 중심은 주인공의 고립과 소외에 있다고 할 수 있다.28)
겨울의 미토스에 해당하는 아이러니와 풍자의 주된 차이는 풍자가 과격한 아이러니라는
것이다.29) 풍자는 창조적인 자유는 지향하지만 고정관념적인 모든 것은 철저히 지양한
다.30) 따라서 풍자적 문학양식은 어떤 하나의 문학양식이 문학의 전 영역을 지배하는 것조
차 반대한다. 아이러니와 풍자의 반도그마적 성향은 화석화된 관습과 모순적 가치에 대항하
는 근본적인 힘으로 작용한다고 할 수 있다.

 

23) Northrop Frye, The Myth of Deliverance, 황계정 譯, 국학자료원, 1995, 200쪽.
24) Northrop Frye, “Archetypal Criticism: Theory of Myths”, Anatomy of Criticism,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57, p. 184.
25) Ibid., p. 186.
26) Ibid., p. 206.
27) Ibid., p. 207.
28) Ibid., p. 208.
29) Ibid., p. 223.
30) Ibid., p. 233.

 

 

그러나 가장 중요한 의식의 반전은 주인공의 정체성 회복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어디서
무엇이 되어 만나랴」에서의 온달, 그리고 「둥둥 樂浪둥」에서의 호동은 자신들을 둘러싼
허위적 가치에 대한 강력한 인식의 전환을 경험한다. 봄의 미토스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이러한 새로운 가치의 발견에 의한 인식의 전환이라고 할 수 있다. 허위적 가치에
대한 반전의식은 주인공에게 새로운 행동을 유발시키는데 이러한 행동은 기존의 관점에서
보면 일탈적 행동으로 여겨진다. 사회적 관습에 저항하는 주인공의 일탈은 가혹한 징벌까지
도 감수해야 하는데 이러한 점이 봄의 미토스인 희극에서 발생하는 비극적 사건의 이유라고
할 수 있다.

 

 

신화적 세계에서 추악함과 더러움은 그것이 오히려 범상치 않다는 점에서 신성함의 의미
를 지닌다. 신화세계에서는 더러움을 성스러움과 결부시키고 음란과 섹스도 다산의 상징으
로 성스러움과 결부시키는 경향이 있다.71)

 

 

겨울의 미토스는 아이러니와 풍자의 특성이 드러나는 언술형식
이다. 영웅적으로 알려진 인물이 사실은 그 자질이 결여되어 있기에 필연적으로 패배를
맞을 수밖에 없고 그 결과 혼란하고 무질서한 세계가 초래된다는 인식이 아이러니와 풍자의
미토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