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앗? 서울대에서 이런 논문이?
>>환경교육 전공 논문
자연은 그 자체로 내재적 가치를 갖지만 현대사회에서는 인간중심주의적 사고에 의해 인간에게 지배당하는 하위의 존재가 되어버렸다.(한면회, 1997)
<<아... 양적 방법론 쓰네....
p.32
자연을 설명하는 데에 있어 의인화 전략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p.33
부정하는 입장에서는 자연을 의인화하는 것은 인간중심적 사고의 한계를 반영하는 것으로 자연 본래의 속성을 왜곡하는 도구로 사용되고 있음을 지적한다(윤창식, 2006, Fill, 1999). 이것을 '감정적 오류'라고 칭하고 있으며 이것은 인간이 자연을 해석하는 과정에서 인간의 사고가 반영됨을 부정하고 잇따.
대조적으로 의인화를 긍정하는 입장에서는 인간이 아닌 동물, 식물과 사물 등을 인간의 형태로 표현하는 의인화는 그 대상에 인격을 부여함으로 인간과 같은 고려의 대상, 존중의 대상으로 격상시키는데 큰 기여를 한다고 본다(김성태, 1999; 박성완, 2003; 성연신 외, 2004; 현은형 외, 2005; Elliot, 2001; Mayer et al., 2003)
이에 더 나아가서 Elliot(2001)는 어떠한 경우에라도 인간의 자연 그 나름의 신호체계와 의사소통 방식을 완전히 파악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인간이라는 매체를 통해 자연을 표현하는 한 자연의 의인화는 불가피하게 수반될 수밖에 없다고 주장한다. 의인화가 생물의 생존 모습 즉 자연 그 자체 내부의 움직임을 표현하는 데에 있어 필요악이라는 것이다. 그는 식물이 인간과 같은 의식을 가지고
p.34
있다고는 보지는 않지만 자연의 움직임을 재현하기 위해서는 의인화를 사용할 수밖에 없음을 거듭 강조했다.
앞서 언급되었던 의인화의 당위성은 역사적으로도 증명될 수 있다. 오랜 시간도앙ㄴ 자연은 인간과 분리되어 사고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었다. 그것은 애니미즘, 토테미즘의 형태로 나타나 사람들의 삶 속에 풍요를 주기도 하고 재앙을 주기도 하는 경외와 두려움의 대상이었다. 이를 통해 자연은 인간과 공존하는 하나의 커다란 유기체로서 존중되었다.(신두호, 2001)
>>의인화의 당위성 부분 찾아볼 것
===
참고문헌
(윤창식, 2006, Fill, 1999).
(김성태, 1999; 박성완, 2003; 성연신 외, 2004; 현은형 외, 2005; Elliot, 2001; Mayer et al., 2003)
'from논to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물 의인화 표현법의 의미와 구체화 / 임지희 (0) | 2014.01.11 |
---|---|
현대 미메시스 문화와 캐릭터디자인의 시각적 불일치에 관한 연구 / 신재욱 (0) | 2014.01.11 |
<게드전기>와 <원령공주>의 스토리텔링 비교분석 연구 / 홍은아, 김정호 (0) | 2014.01.11 |
풍자적 표현을 위한 글과 그림의 관계 연구 : 아이러니 관계 중심으로 / 김연주 (0) | 2014.01.09 |
17세기 러시아 풍자 문학에 나타난 웃음의 미학 / 강철 (0) | 2014.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