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학교 정보대학원,[2012] [국내석사]
p.1
출판만화의 디지털 판인 웹툰이라는 콘텐츠가 포털사이트에 서비스되면서 포털사이트의 핵심 콘텐츠로 정착하게 되었다.
>>포털 사이트로 공식화된 웹툰 연재처만 이만큼...
여기에 도전 만화가 같은 곳. 개인 블로그/홈페이지, 레진 닷컴 같은 데까지 포함하면.. 힘들겠수다
<<도대체 이 논문은 각주가 어딨수까...;;
각주 4. 각주 9 참고하기
윤태호의 '출판만화와 웹툰의 형식적 특징에 관한 연구'에서 해당 연구자는 인터넷 만화를 이렇게 말한다.
"인터넷 만화의 비약적인 성장은 눈부시다. 가히 혁명적인 상황이라고 할 만큼 만화시장의 모든 것을 바꿔 놓았다. 이제 인기 만화작가는 대여점이나 ㅁ나화가게에서 찾으면 안 되고 인터넷에 접속해야만 할 지경에 이르렀다."
<<또 통계 돌리는 논문..
<<디지털 콘텐츠가 아니라 '웹툰'이라고 하는 편이 나았을 듯. 웹툰만이 디지털 콘텐츠는 아님.
그리고 디지털 콘텐츠 ---> 포털 사이트에 영향을 미치는 것 뿐만 아니라
포털 사이트 ----> 디지털 콘텐츠에도 영향. 좀 더 이런 점이 드러나는 제목이었으면
'from논to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툰 캐릭터의 디자인 특성 분석 연구 / 임송이, 김남후 (0) | 2013.08.09 |
---|---|
출판만화와 웹툰의 형식적 특징에 관한 연구 / 윤기헌 (0) | 2013.08.09 |
패널과 프레임에 은폐된 '시대 미학'의 잠복성 / 백준기 (R) (0) | 2013.08.09 |
디지털만화의 융합화가 갖는 만화장르의 사회문화적 대안성 연구 / 한창완 (0) | 2013.08.09 |
[R/ㄲ] 웹툰의 발생 과정 탐색과 발전을 위한 제언 / 송요셉 (60/100) (0) | 2013.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