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범하고 개인의 내밀한 이야기들이 ... 제재가 된 경우...
지극히 개인적인 일들이라도 궁극적으로 사회라는 장 속에서 움직이고 있다는 사실을 인정한다면, 개인사를 이야기하는 것이 곧 당대 현실을 이야기하는 것이라는 평범한 결론...
>>만약 캐릭터를 다르게 성립시켜 이런 현실 사회 비판에 대한 논의로부터 자유로워질수도..
미국 고백시(Confessional Poetry)
고백체 글쓰기
내면과 일상 현실 사이의 거리를 인식하고 그 간극에서 고뇌하는 자아를 형상화...
고백체 문학은 오랜 역사적 흐름 ... 고대 이래로 자신에 대한 성찰이라는 의미에서 주볻받아 왔다. 그것은 글쓰는 주체가 자신을 정기적으로 성찰함으로써 훈련시킬 수 있는 방법, 이를 통해 규율을 정하고 자신을 반성하는 수단이 되어왔다.9)
9) Foucaut Michel, ... 1990
일반적으로 문학 작품에는 어느 정도 작가의 개인적 체험이나 감정, 사상이 반영되어 있기 마련이다. 작가의 정신과 취향이 내면화되어 있다는 점에서 모든 문학은 고백적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그러한 것들을 모두 고백 문학이라고 할 수는 없다. 작품 전제에 고백이 작품을 구성하는 주요한 모티프로 작용을 하고 있을 때라야 고백문학이라고 이름 붙일 수 있을 것이다.18) 이와 관련하여 작품 전체에 고백이 작품을 구성하는 주요한 원리가 되어야 고백문학이라고 할 수 있다고 본 두디(Terrence Doody)의 견해는 중요한 참조사항이 된다.
18) 유흥주, 한국 근대 고백 소설의 형성과 담론 양상, 현대문학이론 26집, 2005, 174면.
화자의 의도는 자서전이나 자기 표현의 다른 양식들로부터 고백을 구별하려는 공식적인 목표이다. 이와 같은 공식적인 목적은 또한 고백적 소설들을 다른 일인칭 소설들로부터 구별한다. 그것은 그들의 독자에게 다른 의도와 다른 태도를 가진다.19)
19) 위의 글, 176면.
두디의 견해에 따를 때 고백이란 자신의 내면을 고백의 대상자에게 이야기하려는 자의식적인 시도를 뜻한다. 그는 고백의 본질을 독자에게 설명하는 자의식적인 시도라고 정의하고20) 이어 독자 문제를 언급한다. 즉 고백하는 자의 고백을 들어주는 자는 그를 규정하는 공동체를 대표한다고 한다. 이와 같이 고백 문학에서는 고백을 하고자 하는 화자의 의지가 중요할 뿐만 아니라 그것을 들어주는 청자의 존재가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시에서 화자와 청자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고백하는 화자의 의도는 시에서 청자를 향한다. 고백체 시는 발신자 지향, 일인칭의 감정 표출을 지향하는 개인의 언어이지만 자서전적인 맥락을 가지며 수신자를 지향한다. 고백을 한다는 것은 궁극적으로 수신자를 지향하며 수신자의 동의를 구하는 방향으로 나아한다. 따라서 고백체 시는 청자를 가정하여 발화되는 시로서 고백하고자 하는 자의 의지가 반영된 시라고 할 수 있다.
>>오올 ㅇ0ㅇ
Terrence Doody, Confession and Community in the Novel, Louisiana State University Press, 1980, p.4
김수영의 고백체 시는 한국 근대 고백문학의 전통 속에서 다른 가능성을 보여주었고, 종전의 시와 다른 모습을 지니고 있다. 한국 근대 문학의 형성기에 나탄잔 고백체 문학이 공동체를 대표하는 사람을 선정하여 개인의 내면을 고백함으로써 '개성'을 내세웠다고 한다면, 그래서 그것을 기술하는 방식은 리얼리즘이, 반영론에 의거한 언어가 선택되었다고 한다면, 김수영의 고백체 시에서는 공동체를 벗어나는 자아의 탈주를, 그래서 궁극적으로 근대 사회를 내부에서 해체하는 모습을, 이질적인 언어의 선택을 보여주고 있다고 하겠다.
고백의 형식은 개인에 대한 관심과 탐구를 주요한 문학적 지평으로 삼는 근대 문학의 중요한 형식이다. .... 개인의 감정과 내면 표현이 가치 있는 영역으로 공론화되기 시작한 1910년대 중반 이후의 글쓰기 방식은 세계를 재편하는 인간 중심의 글쓰기 기원을 밝혀 주는 것으로 이해되어 왔다.37)
전체 질서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강조된 개성 ...
김수영의 고백체 시는 미국의 고백시와도 구별되는 특징 ... 현대 문명 속에서 개체성의 상실이라는 위기의식을 느끼고 전도된 가치를 바로 잡을 길을 탐색 ...
'from논to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백체와 여성적 글쓰기 / 유홍주 (0.5) (0) | 2014.10.03 |
---|---|
근대 지식인의 고백체 내면지향 소설에 관한 연구 / 김현실 (0.5) (0) | 2014.10.03 |
현대시와 대화적 상상력 : 바흐친의 다성성 이론을 중심으로 / 김창근 (0.5) (0) | 2014.09.17 |
대화적 상상력을 통한 유희적 독자의 읽기 / 정효석 (0.5) (0) | 2014.09.17 |
페이스북과 싸이월드에서 이뤄지는 자기노출의 깊이 / 이자형, 한광희 (0.5) (0) | 2014.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