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check

한국 사회의 디지털 미디어와 문화 // 한국언론학회

snachild 2014. 7. 11. 10:08


p.5


 우리나라의 컴퓨터 도입이 1960년대에 이루어ㅣ긴 했지만 다양하고도 본격적인 미디어 디지털화는 1990년대 중반 이후의 일이라 할 것이다. 



p.6

 우리 사회에 수용되거나 개발되고 확산된 국내 미디어의 디지털화 추이 및 현황


 미디어 기술과 사회 변동의 관계


기술과 사회구조의 관계


기술결정론

사회구성론적 관점social constructivism


 

p.9


사회구성론적 관점은 기존의 사회적 조건과 사회적 관계, 기득권층의 의도나 목적, 정책 등에 의한 기술의 선택적 개발과 확산을 강조한다. 

 



p.12


 디지털 미디어에 의한 문화 변동 혹은 인간 상호 간의 소통 양식의 변화 .... 정보양식론

디지털 미디어를 통한 전자적 소통이 인간 주체의 분산과 탈상황화 및 다중주체화 등을 초래할 뿐 아니라 진리, 의미, 주체 등을 강조하던 모더니즘적 문화의 해체와 포스트 모던한 삶의 새로운 문화 양식이 등장하고 있음

 


 p.13


 더욱 다양하고 복잡해져가는 디지털 미디어 기술에 의해 이를 이용하는 사회 구성원들 간의 공적 유대가 약화되고 그 관계가 더욱 분절화. 파편화되어간다는 세포사회론적 관점 ㅡ 혹은 시민사회 공론권 소멸론 ㅡ 등이 제기되고 있다.




p.18


 기존 미디어들은 이러한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자신들의 콘텐츠를 온라인으로도 서비스하기 시작 ... <중앙일보> .. 최초의 독립 인터넷 신문 <딴지일보>가 등장한 것은 그 이듬해인 1998년 7월. ... <오마이뉴스> 등장


 

p.22


 인터넷을 이용한 다양한 디지털 미디어의 출현과 방송 · 통신의 디지털화, 그리고 모바일 미디어 환경의비약적 발전 등으로 각종 개인형, 이동형, 융합형 디지털 미디어 서비스가 등장하게 되었다. 이처럼 다양한 디지털 미디어의 등장과 보급이 이루어지면서 우리 사회 구성원들의 삶 속에 디지털 미디어는 또 다른 일상이 되었다. 




p.31


 컴퓨터 도입기 / 1960년대 말

 컴퓨터 통신 서비스 및 인쇄 미디어 디지털화 시기 / 1970~1990년대 초

 인터넷 상용화 및 미디어 본격 디지털화 시기 / 1990년대 중·후반

 방송 미디어 디지털화 시기 / 2000년대 초반

 융합 미디어 서비스 시기 / 2000년대 후반


 


p.34


 미디어 디지털화 추세에 따라 각 계열 미디어 안에


p.35


 서도 새롭고 다양한 뉴미디어들이 대거 등장하였고, 1990년대 중반 이후 디지털화가 더욱 가속됨에 따라 기존의 매체 특성에 따른 미디어 구분을 더욱 어렵게 하는 융합형 미디어들도 다수 등장


 대안적이고 대항적인 미디어의 출현 가능성이 그만큼 더 높아지는 것이다. 실제 우리 사회에서의 미디어 디지털화는 시기적으로 사회 민주화 과정과 궤를 같이 하면서 수많은 대안 미디어의 출현을 가능하게 했다. 특히 1990년대 후반 이후 인터넷의 급속한 확산과 이용은 



p.36

사이버 공간을 활용한 보다 적극적인 정치· 사회적인 참여와 풀뿌리 민주주의의 실현에도 크게 기여했다. 그런 과정에서 국내에서는 정치인이나 정당, 정부 기관, 시민 단체, 정치적 후원 단체, 언론 기관의 홈페이지나 블로그, SNS 이용이 일상화되면서 정치 과정의 투명성이 크게 증가한 반면, 여러 분야에서의 '관성적 권위'는 크게 붕괴됐다.12


 12) 미디어 폭발은 동일 현상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평가의 가능성과 다수의 대안 제시 가능성 등으로 인해 과거 지식 독과점 시대의 정치적, 종교적, 교육적 권위가 크게 쇠락했다. 미디어 시장 내에서도 대안적이거나 전문적인 미디어의 대거 등장으로 인해 과거 독과점적 지위를 누리던 유력 언론의 영향력은 상대적으로 크게 감소한 것 같다.


 


p.37


 <미디어 이용의 개인화와 네트워크화된 단말>


 디지털 미디어 환경은 더욱 세분화, 전문화, 개인화의 흐름을 촉진시킨다. ... 미디어의 이용의 개인화 현상 ... 디지털 시대 여러 개인 휴대용 단말기들은 서로 분절된 단말segmented terminal이 아니라 상호 밀접하게 '네트워키화된 단말networked terminal' 관심 공동체...


 신문과 방송 등의 대중매체와 사이버 공동체 및 1인 미디어 등에 의해 반복적으로 부각...


 


p.52


 <정보 양식의 변화인가, 지배 양식의 지속인가?>


 정보양식론적 관점은 미디어 디지털화가 새로운 전자적 글쓰기 문화 양식을 만들어냄으로써 주체의 구성 방식과 개인이 사회와 맺는 관계 등에 상당한 변화가 있었다고 본다. .. 미디어의 폭발로 인해 기존의 모더니즘적 권위가 붕괴되고 기호가 갖는 의미화 기능이 크게 약화되었다고 본다. 그리고 디지털 미디어가 포스트모던 문화 현상을 초래한 중요한 기술적 기초였음을 또한 강조한다. 



 p.55


미디어 디지털화는 미디어의 개인화나 개인 미디어의 


 p.56

 활성화를 통해 사회적 분절과 파편화 가능성 ..... 새롭고 다양한 디지털 미디어는 기존의 대중 매체는 물론 네트워크화된 개인 미디어 등과 결합함으로써 사람들의 자발적 참여를 고무시키고 대안적 여론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유형의 집합행동을 창출


 


 p.100


 3. 1990년대 이후 청년 세대들의 미디어 문화 정치 / 이광석


 이 글은 1990년대 이후 각 세대별 사회 참여와 운동에 미치는 디지털 미디어와 그 진화 방식에 주목 



p.103


 디지털 세대의 형성과 사회·문화적 세대 구분


 또한, 세대론은 시장의 관심에 맞춰 마케팅 소구 대상으로 쓰이면서 과잉 기표화하기도 했다.


 신세대의 문화적 감수성은 확실히 다른 정서구조에 기반을 둔다.


 

p.127


 당대 디지털 세대들의 태생의 역사적 상황과 그들을 조건화했던 미디어 표현 양식과 그것이 지니는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맥락


 



p.177


전통 신문의 전자적 연장으로서의 인터넷 신문 등장 : 1995~1998년 전후





p.178


 (신문의 디지털화)


 중앙일보 - 조인스 닷컴

 경향신문 - 미디어칸 등... (사진 찍어놓음) 



p.179


 오연호(2006)는 이들 종속형 인터넷 신무닝 종이 신문의 '또 하나의 창구'이자 보조 역할을 했을 뿐 독립된 매체가 아니었다고 평가한다. 



p.182


 '모든 시민은 기자다' 독립형 인터넷 신문의 등장 : 1998년 이후부터 2000년 전후


 



p.233


 기든스(Giddens, 1984, p.206)는 사회 체계가 유지되기 위한 통제 기제를 사람들의 상호작용이 나타나는 현장locale의 개념을 이용, 시간과 공간의 틀에서 설명하고 있다. 왜냐하면 기든스에게 있어서 현장locale은 일상생활의 상호작용이 발생되는 상황의 의미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시간과 공간을 동시에 점유하면서 상호 간의 일상적인 관계를 수행함이 사회의 질서를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든스는 사람들의 상호작용이 발생되는 다양한 공간이 어떻게 형성되는지에 대해서는 분석을 하지 않았다.(Gregory, 1989) 현재 사회는 일상적인 관계를 수행하기 위해 동시에 현존co-presence할 필요가 없다. 이동전화는 비록 같은 지역에 있지 않더라도 같은 일을 할 수 있으며, 자신의 생활 리듬과 타인의 생활 리듬을 맞출 수 있다.


 


 p.241


 마노비치(Manovich, 2001, p.42)는 과거의 매체의 논리가 산업 대중사회의 그것과 일맥상통한다면 새롭게 나타나고 있는 매체드르이 논리 또한 포스트 산업사회의 그것에 부응한다.


>>이거 비문 아닌가.. 부응한다고 하였다. 라고 해얄듯


 

 

p.250

 

 위르겐 하버마스 - 커뮤니케이션 ; 사회를 구성하는 기본 원리

 

 최근 트위터, 페이스북, 미투데이...좁은 의미의 SNS

 인적 네트워크 구성과 이를 토대로 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SNS로 규정하면 이는 위키피디아, 아이러스스쿨, 블로그, 카페, 싸이월드를 모두 포함

 

 

p.251

 

 마셜 매클루언 ... "미디어는 메시지다Medium is message" 미디어는 단지 메시지를 전달하는 수단에 그치지 않고 미디어라는 채널의 속성이 커뮤니케이션의 성격 자체까지도 바꿔놓을 수도 있다고 역설했다.

 

>>오 이게 그런 뜻이었군

 

 

p.253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집단의식의 형성을 다룬 대표적인 연구 ... 민족주의 형성과정에 관한 베네딕트 앤더슨(Anderson, 1991/2002)의 저술

사회나 공동체, 국가라는 추상적이고 거시적인 집단 단위의 형성 과정에서도 구성원 간의 소통 양식이 중요한 기능을 한다. 커뮤니케이션이 곧 집단의 형성 . 작동 과정을 이해하는 중요한 축이자 계기가 된다는 관점에서 출발해, 앤더슨은 민족의 역사적 형성 과정을 '상상의 공동체imagined communities'라는 개념으로 설명

 

구성원의 사회적 특성이 실제로 동질적인지가 아니라 이들 사이에서 그 공동체가 재현되고 상상되는 방식이 어떠한지

18세기 유럽 민족주의 등장 .. 신문과 소설이라는 두 가지 '상상 방식의 중요성..

 

p.254

 

민족이라는 상상의 공동체를 '재현'하고 일체감을 형성 ..

 

아침에 일어나 사람들이 신문을 읽는 행위는 사적 영역에서 일어나는 지극히 개인적인 일이면서도 날마다 반복되는 습관화된 행위 ... 수많은 사람들이 동시에 참여하는 '대중 의례mass ceremony'

 

 

p.255

웰먼(Wellman, 2001) '네트워크형 개인주의networked individualism' 개념 ... 본래 사람들은 여러 개의 '개인적 공동체personal sommunity'에 소속한다 .. 정보 기술이 가져다 준 이동성, 글로벌 연결성, 개인화 때문에 특화된 관계나 공동체들이 생겨나고 있다...

..개인이 구심점..

 

 

p.257

 

 SNS를 통한 소통의 양적 확대 현상에서 특히 주목할 부분은 '스몰토크'(Duck, 1994)의 증가

 스몰토크란 일상 의례적인phatic 커뮤니케이션. 덕은 인간관계의 본질이 대화의 내용보다는 상호작용의 연속성에 있다고 주장하면서 관계 유지에서 스몰토크의 역할을 강조 .... 관계란 연속적인 대화 위에서 이 관계가 어떤 것이라는 '수사학적 비전rhetorical vision'을 공유해나가는 커뮤니케이션

  

p.257

 

 밀러(Miller, 2008) 연결적 실재감connected presence ... 일상 의례적 사교성phatic sociability

 

 p.260

 

밀러는 네트워크에 근거한 관계란 사후구성적ad-hoc이고 '비내러티브적인 조합'이라고 규정하면서 이러한 관계망의 성격은 현대사회의 특징은 데이터베이스 문화(Manovich, 2001/2008)의 기본 속성에 부합된다고 지적한다.

 

 

p.262

 

 커뮤니케이터의 권력

 

 

p.263

 

 헤르미다(Hermida, 2010)에 따르면 트위터상의 정보는 단순히 내용 자체만으로 해석되지는 않고, 메시지를 올린 사람의 프로파일이나 이들이 타인과 맺고 있는 관계에 따라 판단이 이루어지며, 이들이 올리거나 재전송하는 다른 메시지들도 또 하나의 해석의 층위를 구성한다. 즉 SNS 세계에서도 내가 어떤 사회적 지위와 속성을 갖고 있고, 문화 자본이나 사회 자본을 어느 정도 보유하고 있는지는 내 글의 권위와 신뢰성을 결정하는 데 핵심적인 요소라는 뜻이다.

 이러한 특징은 SNS에서의 상호작용 역시 자유롭고 민주적이며 평등한 소통 관계가 아니라 결국 현실 세계에서처럼 비대칭적이거나 일방향적 관계(짝사랑)로 귀결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의사 상호작용para-social 개념은 올드미디어 환경에서 텔레비전 퍼스낼러티와 시청자 간의 일방적인 관계에서의 특성을 묘사하기 위해 나온 것이지만, SNS 환경에서도 다시 검토해볼 만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p.267

 

 '흐름'으로서의 메시지와 선별적 수용

 

미디어의 기술적 속성은 그 안에 담기는 메시지 내용에도 영향을 미친다. 일찍이 매클루언(Mcluhan, 1964)은 텔레비전과 같은 전자 미디어 수용에 있어서 이용자가 미디어 내용의 전달 속도를 통제할 수 없고 미디어의 속도대로 쏟아지는 정보를 받아들여야 한다는 점을 들어 ..... 매클루언의 아이디어를 원용하자면, 미디어의 속성이란 바로 전달 가능한 감각 양상modality가 이용자의 관심attention을 끌기 위해서는 매우 감각적인 표현 요소로 구성되어야 한다는 것인데, 이 주장이 시사하는 점은 바로 매체와 메시지의 속성을 단순히 전통적인 매체 구분이 아니라 이용자의 주관적 경험이란 

 

p.268

 

 이란 측면에서 파악할 필요가...

 

p.269

 

 메시지 선별은 주관적, 상황적이고 수용 역시 더욱 개인화, 주관화하게 된다. 이러한 정보 소비 양식 .. 정보 간식information snacking (Brooks & Churchill, 2010)

 

 

 

 

8. 네트워크 시대의 지식 생산 패러다임

 

>>위키피디아 같은 새로운 지식 체계의 존재 양식 변화. 네트워크화된 지식인.

 

 

 

 

p.307

 

 네트워크 시대의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함축적으로 설명하는 개념이 웹 2.0의 핵심적 요소인 개방과 공유 그리고 참여다.

 

 

 

p.356

 

 요약 및 논의 : 한국 게임 문화사의 재구성

 

>>소제목이 멋있는데?!

 

 

p.364

 

 한국의 게임 관련 주요 정보 연표(~1999년)

 

 시기 

 주요 사건/현상

 출처

 관련 정보

 

 

 

p.367

 

 10. 한국 미디어 플랫폼 진화와 콘텐츠 생산 양식

 

>>방송 얘기 주로

 

p.369

 

 

 포스트만(Postman, 1979)은 미디어 생태학을 "미디어 기술이 정보의 형태, 양, 속도, 분배, 방향을 어떻게 통제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정보 구성 혹은 편향성이 인간의 지각, 이해, 감정, 가치, 태도 등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 미디어와 상호작용이 생존기회를 촉진시키거나 방해하는 방식 등을 이해하는것"이라고 정으. 궁극적으로 미디어 생태학은 다양한 신구 미디어 기술이 상호작용하고, 내외부적 환경에 대응함으로써 변화하고 발전해나가면서 인간의 삶에도 변화의 긍정적인 동인이 될 수 있도록 조정하는 것을 의미

 

 

<<<<<<<<인문학보다는 사회학 기반 베이스이나 참고할 것이 없는 건 아님. 전반적으로 이해하기 쉬우면서도 어느 정도 퀄리티와 신뢰성이 있음. 각 주제 별로 핵심 이슈들이 균형있게 다루어짐. 좋은 책인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