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근대 만화의 전개와 문화적 의미
http://www.riss.kr/link?id=T13241156
- 저자 : 서은영
- 형태사항 : ii, 237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이상우
참고문헌(p. 210-219)과 부록수록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박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현대문학전공 2013. 8
문제제기
이 논문은 근대 출판문화의 형성으로 다양한 '읽을거리'가 창출되는 가운데 만화가 유입되어 형성, 전개된 과정을 식민지 조선의 문화사적 지형도 내에서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만화의 문화적 의미가 변화하는 양상을 추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논의는 단순히 한국 만화사의 형성 과정을 살피는 데 머물지 않는다. 만화는 산업과 과학의 발달로 이루어낸 근대의 산물이자, 체현된 근대성 이 발현되는 대표적인 시각예술이다.
>>캬~~~ 멋지다
... 만화는 그리고자 하는 대상, 담고자 하는 이데올로기가 다양한 표상으로 이미지되어 컷 안에서 구현된다. 따라서 만화를 그리고자 하는 사람, 그리고 만화를 읽는 독자는 문자와는 다른 새로운 인지체계가 요구된다. 이것-표상 이미지-은 객관적 실재라기보다는 사회·문화·역사적으로 구성된 개념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만화는 과학 기술의 발달에 따른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환에서 문화적 배경을 밑그림으로 하여 이해되어야 한다.
>>이야 말 잘 하시네여
대중. ... 공공성을 확보
공적 미디어에서 발생해 대중성에도 성공
만화를 둘러싼 이러한 논쟁은 결국 만화의 전개 과정이야말로 대중 소비사회로의 이행을 가장 잘 보여주는 매체라는 점을 확인시켜준다.
<<뭔가 익숙하다? 싶었더니 다른 제목으로 학술지에 발표한 쪽논문을 읽은 적 있었던 것 같음
문자 텍스트 위주의 연구 경향에서 벗어나 만화의 사회적 기능과 문화사적 의미를 파악
당시 문맹률이 80-90%를 육박했던 상황을 고려한다면 만화라는 장르의 영향력을 무시할 수 없으며, 동시에 시각을 통한 근대적 감각의 재편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만화는 정치·사회적 맥락에서 새로운 좌표를 제시하고 있는 셈이다.
'김동성' ... '펀치화가' ... 직업으로서의 만화가가 처음으로 언급된 것
3.1 운동으로 인한 잠재된 욕구의 분출이 가져다 준 언로의 해방은 은폐된 통제의 일환으로 시행된 언론의 자유라는 일제의 정책과 맞무렬 식민지 조선에 매체를 확산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본 논문은 식민지 조선에서 만화가 정착, 대중화하는 과정을 인쇄출판 및 영화와 같은 근대미디어의 재편과 대중화 기획과 관련하여 분석한다.
취향을 계층화시키려는 욕망 ... 만화읽기가 표면화되는 것은 암묵적인 금기.. 도식화된 근대성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근대 자본주의의 근간에 놓여있는 대중의 요구를인정하면서 대중/통속/하위 문화에 대한 연구 경향이 바뀌었고, 만화에 관한 업적들도 축적되기 시작했다. 특히 최근에는 서로 다른 장르들이 교섭하는 과정에서 만화가 재매개되는 경향이 많아지면서, 만화의 특성과 가능성을 분석한 연구들도 생산되고 있다.5)
대부분은 충실한 자료조사에 치우쳐 문화사회적인 맥락, 개별 작품과 시대 상황 연구, 인접 교섭 장르와의 관계 등 다각적인 측면의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한 점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그의 연구는 그간 도외시되었던 만화를 인문학적 사유의 틀로 분석함으로써 대중 문화 연구의 외연을 확장시켰으며, 만화를 대중문화의 한 영역으로 정식화하는 데 기여했다.
>>와우 말 잘한드아
만화를 커뮤니케이션의 맥락에서 연구하고 있는 랜들 P.해리슨은 『세계만화백과대사전』에서 모리스 혼이 말한 "그 안에 완성된 하나의 생각을 갖고 있는 그림은 어떤 것이라도 '만화'라 불릴 수 있다"는 의미를 전적으로 수용하고 있다.
박인하는 만화란 "그림과 글을 비롯한 상징화된 형상을 통해 수용자에게 연속된 연상 작용을 일으키며, 미적인 반응이나 정보를 전달하는 효과를 거두는 것 혹은 정보를 전달하거나 미적인 반응을 일으킬 목적으로 그림과 글을 비롯한 상징화된 형상을 의도적으로 늘어놓거나 배치하여 수용자에게 연속된 연상 작용을 일으키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27) '상징화된 형상'이라는 것은 단순화와 왜곡에 의해 약호화된 이미지이다.
27) 박인하, 만화를 위한 책, 1997, 35면
코믹스가 그 이전의 형식들과 다를 수 있었던 가장 크고 근본적인 이유는 바로 인쇄술의 발달이다.
'독서의 대중화'
p.23
'사회현상으로서의 만화'
이미 많은 선행연구에서 이 시기의 대중문화를 연구대상으로 삼고 있듯이, 만화 역시 1920년대에 고착되고 1930년대에 이르러 대중화되었다. .... 1920년대 중반까지 이어지는 취미론과 그 실천적 방안에 대한 담론적 구상들은 만화가 대중이 향유하는 오락의 하나로 전면화되는 계기를 마련했다.
<<<하나하나 실증적인 자료들을 바탕으로 증명하고, 이에 따라 식민지 시대 만화의 출현과 발전의 사회문화적 의미를 살핌
'from논to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오귀 굿 현재성의 사회학적 의미 / 염은영 (0.5) (0) | 2014.07.18 |
---|---|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 드라마 형성소를 중심으로 / 이유영 정동환 (0.5) (0) | 2014.07.13 |
Digital genres: a challenge to traditional genre theory (9/10) (0) | 2014.07.08 |
Emerging personal media genres / Marika Lüders (7/10) (0) | 2014.07.07 |
Conceptualizing personal media / MARIKA LÜDERS (4/10) (0) | 2014.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