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08.23 td>
재현의 위기 시대의 메타 담론 연구
- 영화의 자기 반영 미학을 중심으로 -
우와 박사논문 ㄷㄷㄷㄷㄷㄷ
국문 요지
아리스토텔레스가 미메시스를 예술의 방법론으로 채택한 이후 재현은 오랜 동안 예
술의 핵심 원리로 인식되었다. 예술가들은 시대를 막론하고 투명한 재현을 위해 헌신
적인 노력을 기울여왔다. 그러나 19세기에 사진과 영화가 발명되면서 재현의 신화에
균열이 가기 시작했다. 새로운 매체가 보여준 극한의 투명성은 그동안 예술을 지배하
던 재현 미학을 새로운 시각으로 인식하도록 유도했다. 이로써 재현에 기댄 예술은
방향 전환의 기로에 서게 된 것이다.
그러나 1990년대 등장한 말레이시아 태생의 대만 감독 차이밍량(蔡明亮)은 불가능
할 것으로 여겨졌던 재현과 자기 반영적 메타 미학의 통합을 다시 시도했다. 그는 거
대한 통합적 내러티브 속에 작은 미장아빔mise-en abyme들을 배치해 이들이 서로
를 반영하도록 유도했다. 차이밍량은 미장아빔의 자기 반영 기능을 이용해 스스로를
인용함으로써 자신의 영화 작업을 되돌아보았고, 관객에게는 현실을 직시하도록 요구
했다. 차이밍량은 재현과 자기 반영을 통합할 때 필수적으로 발생하는 틈을 독특한
방식으로 봉합해나갔다. 그의 영화는 관객에게 일정한 미적 거리감을 불러일으켰지
만, 그것은 브레히트와 고다르의 정치적인 소격효과와는 다른 차원으로 기능했다. 차
이밍량의 영화는 반영의 거울을 내부로 이동시켜 인간 존재가 가지는 근원적인 파토
스를 성찰하게 만들었다. 그의 영화는 자기 반영에 근거한 메타 미학과 재현으로 이
루어진 리얼리즘, 그리고 이질적인 요소들의 교직으로 발생하는 간극을 환상성(幻想
性)으로 메우면서 새로운 굴절의 미학을 선보인 것이다. 차이밍량 영화는 여전히 현
재 진행형이다. 그는 언제나 또 다른 미장아빔을 삽입하면서 점점 외연을 확대하는
전략으로 관객을 자신의 영화 세계로 이끈다. 우리는 차이밍량이 영화를 발표할 때마
다 삽입하는 새로운 미장아빔을 통해 인간의 내부에 존재하는 뫼비우스의 심연 속으
로 들어서는 것이다.
<차 례>
국문 요지
제 1장 서론 ...................................................................................................................................................................................... 1
제 1절 연구의 목적 ............................................................................................................................................................ 1
제 2장 기존의 연구 ............................................................................................................................................................ 3
제 3장 연구 방법론 ......................................................................................................................................................... 4
제 2장 차이밍량을 통한 대안 미학의 가능성 모색 ...................................................................... 6
제 1절 통합적 미학으로의 접근 ............................................................................................................................ 6
제 2절 재현과 자기 반영의 교직 가능성 ..................................................................................................... 9
제 3장 미적인 측면에서의 재현 개념과 위기 .................................................................................... 13
제 1절 모방과 미메시스에 관하여 .................................................................................................................... 14
제 2절 재현에 관한 철학적 정의와 논의 .................................................................................................. 17
2.1 자기 준거성의 상실 ..................................................................................................................................... 22
제 3절 하이데거를 통해 바라본 현상학적 재현 ................................................................................. 24
제 4절 하이퍼리얼리티와 시뮬라시옹 그리고 재현 ......................................................................... 28
제 4장 영화의 재현 방식과 한계 ․․․․․․․․․․․․․․․․․․․․․․․․․․․․․․․․․․․․․․․․․․․․․․․․․․․․․․․․․․․․․․․․․․․․․․․․․․․․․․․․․․․․․․․․․․․․․․․․․․․․․․․․․․․․․․․․․․․․․․․ 32
제 1절 시각매체의 재현방식과 기재들 ․․․․․․․․․․․․․․․․․․․․․․․․․․․․․․․․․․․․․․․․․․․․․․․․․․․․․․․․․․․․․․․․․․․․․․․․․․․․․․․․․․․․․․․․․․․․․․․․․․․․․․․․․ 34
제 2절 영화적 재현의 과정 ․․․․․․․․․․․․․․․․․․․․․․․․․․․․․․․․․․․․․․․․․․․․․․․․․․․․․․․․․․․․․․․․․․․․․․․․․․․․․․․․․․․․․․․․․․․․․․․․․․․․․․․․․․․․․․․․․․․․․․․․․․․․․․․․․․․․․․ 41
2・1 영화의 시각적 환영성의 요소들 ․․․․․․․․․․․․․․․․․․․․․․․․․․․․․․․․․․․․․․․․․․․․․․․․․․․․․․․․․․․․․․․․․․․․․․․․․․․․․․․․․․․․․․․․․․․․․․․․․․․․․ 43
2・2 영화 고유의 매체적 환영성; 동일화 기재 ․․․․․․․․․․․․․․․․․․․․․․․․․․․․․․․․․․․․․․․․․․․․․․․․․․․․․․․․․․․․․․․․․․․․․․․․․․․․ 46
제 3절 아우라 상실의 영화적 의미 ․․․․․․․․․․․․․․․․․․․․․․․․․․․․․․․․․․․․․․․․․․․․․․․․․․․․․․․․․․․․․․․․․․․․․․․․․․․․․․․․․․․․․․․․․․․․․․․․․․․․․․․․․․․․․․․․․ 54
제 4절 <블로우 업blow up>을 통해 본 모더니즘 재현의 불가능성 ․․․․․․․․․․․․․․․․․․․․․․․․․․․․ 57
제 5절 재현과 이데올로기 ․․․․․․․․․․․․․․․․․․․․․․․․․․․․․․․․․․․․․․․․․․․․․․․․․․․․․․․․․․․․․․․․․․․․․․․․․․․․․․․․․․․․․․․․․․․․․․․․․․․․․․․․․․․․․․․․․․․․․․․․․․․․․․․․․․․․․․․․ 61
5・1 카메라의 본원적 이데올로기성 ․․․․․․․․․․․․․․․․․․․․․․․․․․․․․․․․․․․․․․․․․․․․․․․․․․․․․․․․․․․․․․․․․․․․․․․․․․․․․․․․․․․․․․․․․․․․․․․․․․․․․․․․ 72
제 5장 메타 담론의 개념과 하위 텍스트 ............................................................................................... 78
제 1절 예술의 메타 담론 .......................................................................................................................................... 78
제 2절 상호텍스트성 개념의 형성과정과 의미 ................................................................................... 83
제 3절 패러디.패스티쉬의 개념과 예술적 적용 .................................................................................. 87
제 4절 하이브리드 장르의 자의식 ................................................................................................................... 92
제 5절 미장아빔의 개념과 예술적 적용 ..................................................................................................... 97
제 6장 자기 반영 미학의 배경과 인식론적 고찰 ....................................................................... 102
제 1절 아방가르드와 좌파의 연합 ................................................................................................................. 102
제 2절 브레히트의 소격이론과 고다르의 자기 반영적 수용 .............................................. 108
제 3절 자기 반영성의 철학적 근거와 배경 ......................................................................................... 117
제 4절 자기 반영 미학의 전개 ......................................................................................................................... 119
제 5절 환유적 사유; 낯설게 하기의 전략 ............................................................................................. 122
제 6절 자기 반영의 영화적 구현 ................................................................................................................... 126
6.1 작가의 자의식과 관련된 자기 반영 ........................................................................................ 128
6.2 매체적 속성을 드러내는 자기 반영 ........................................................................................ 130
6.3 상호텍스트성을 통한 장르의 자기 반영 ............................................................................ 132
6.4 미장아빔을 통한 자기 반영 ............................................................................................................ 137
6.5 이데올로기의 실체를 모색하는 교술적 자기 반영 .................................................. 140
제 7장 차이밍량 영화의 재현과 탈재현의 변증법 ․․․․․․․․․․․․․․․․․․․․․․․․․․․․․․․․․․․․․․․․․․․․․․․․․․․․․․․․․․․․․․․․․․․ 145
제 1절 불쾌의 쾌; 숭고의 미학 ․․․․․․․․․․․․․․․․․․․․․․․․․․․․․․․․․․․․․․․․․․․․․․․․․․․․․․․․․․․․․․․․․․․․․․․․․․․․․․․․․․․․․․․․․․․․․․․․․․․․․․․․․․․․․․․․․․․․․․․ 146
제 2절 차이밍량 영화의 통합적 전략 ․․․․․․․․․․․․․․․․․․․․․․․․․․․․․․․․․․․․․․․․․․․․․․․․․․․․․․․․․․․․․․․․․․․․․․․․․․․․․․․․․․․․․․․․․․․․․․․․․․․․․․․․ 149
제 3절 차이밍량 영화 미학의 자기 반영 ․․․․․․․․․․․․․․․․․․․․․․․․․․․․․․․․․․․․․․․․․․․․․․․․․․․․․․․․․․․․․․․․․․․․․․․․․․․․․․․․․․․․․․․․․․․․․․․ 155
제 4절 거대한 통합 체계 속의 미장아빔 ․․․․․․․․․․․․․․․․․․․․․․․․․․․․․․․․․․․․․․․․․․․․․․․․․․․․․․․․․․․․․․․․․․․․․․․․․․․․․․․․․․․․․․․․․․․․․․․ 158
제 5절 차이밍량 영화에서의 공간의 의미 ․․․․․․․․․․․․․․․․․․․․․․․․․․․․․․․․․․․․․․․․․․․․․․․․․․․․․․․․․․․․․․․․․․․․․․․․․․․․․․․․․․․․․․․․․․․․ 164
제 6절 억압된 것들의 귀환; 재현과 환상성의 결합 ․․․․․․․․․․․․․․․․․․․․․․․․․․․․․․․․․․․․․․․․․․․․․․․․․․․․․․․․․․․․․․․․․․․ 167
제 7절 재현과 상대적 인식론 교직의 의의 ․․․․․․․․․․․․․․․․․․․․․․․․․․․․․․․․․․․․․․․․․․․․․․․․․․․․․․․․․․․․․․․․․․․․․․․․․․․․․․․․․․․․․․․․․ 171
8장 결론 ․․․․․․․․․․․․․․․․․․․․․․․․․․․․․․․․․․․․․․․․․․․․․․․․․․․․․․․․․․․․․․․․․․․․․․․․․․․․․․․․․․․․․․․․․․․․․․․․․․․․․․․․․․․․․․․․․․․․․․․․․․․․․․․․․․․․․․․․․․․․․․․․․․․․․․․․․․․․․․․․․․․․․․․․․․․․․․․․․․․․․․․․․ 175
제 1절 리얼리즘과 자기 반영성의 공존 ................................................................................................... 175
제 2절 현실의 재현과 반영 그리고 굴절의 미학 ............................................................................ 177
참고문헌 ........................................................................................................................................................................................... 180
Abstract .......................................................................................................................................................................................... 190
인류가 예술 활동을 시작한 이래재현이라는 개념은 예술의 구현원리 중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왔다. 아리스토텔레스(Αριστοτέλης)는 물론이거니와 예술의 효
용성에 의문을 제기한 플라톤(Πλάτων)도 예술은 미메시스에 기반한 재현으로 이루
어졌음에 동의했다.
본 논문은 리얼리즘 예술의 방법론으로 오랜 동안 기능했던 재현 그리고 아방가르
드와 모더니즘 미학이 차용한 자기 반영의 방법론이 결코 상호 배타적이지 않고 그
안에서 합일점을 찾을 수 있다는 생각으로 논지를 전개할 것이다. 그리고 그 교직의
가능성으로 자기 반영과 극단의 재현성, 환타지가 결합된 차이밍량Tsai Ming Liang
(蔡明亮)의 영화 미학을 상정할 것이며 이를 텍스트로 삼아 논의를 진행할 것이다.
재현을 통한 리얼리즘의 현실의 반영, 메타적 자기 반영을 통한 모더니즘적 예술가의
자기 모색, 그리고 환타지를 통한 주제 구현으로 구성되어 있는 차이밍량의 영화는
불가능으로 여겨졌던 예술 구현 원리의 총체성을 실험하는 장이 될 것이다.
아직도 주관적으로 감지될 수 있는 리얼리티가 객관적으로도 가치를 지니며 통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 예술가들에게
재현의 신화에 대한 오래된 믿음 대신
그 자리에회의(懷疑)와성찰(省察)을 종용하는 것이 바로 메타 담론 즉,자기 반영 미학의 핵심 개념이다.
자기를 반영하는 행위, 즉 자기를 대상 안에
개입시키는 행위가 미학적인 의미를 가지기 위해서는 자기를 대상화하는 객관적 작업
과 더불어 그 대상 안에서 스스로를 주체화 할 수 있는 능력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작품 안으로 관객을 이끄는 재현의 기재는 메타
예술의 차단 장치들로 인해 의미화 작용을 중단시키고, 그 빈 공간을 예술가의 직접
적인 목소리로 채운다. 따라서 예술가의 목소리는 재현의 막강한 기능에 의해 희미하
게 이야기 속으로 묻혀버린다. 결국 자기 반영이 의미를 가지기 위해서는 주관과 객
관의 충돌을 다성적인 목소리로 승화시켜야만 한다.
'from논to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응형 NPC를 생성하는 행동 정보 관리 기법 / 김나라 엄기현 조경은 (0) | 2015.12.22 |
---|---|
국내 소셜 게임 시장 전망 / 김윤경 (0) | 2015.12.22 |
근대문학과 공동체, 그 이후 / 고봉준 (0) | 2015.12.09 |
텔레비전 드라마의 달동네 표상 / 고선희 (0) | 2015.12.09 |
국내 게임중독 담론의 역사 / 문성호 (0) | 2015.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