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기호계 : 문화연구와 문화기호학 // 유리 로트만, 김수환 옮김

snachild 2013. 11. 26. 18:47

 

p.8

 

 퍼스의 출발점은 개별적인 기호의 개념, 더 정확하게는 기호가 아니라 그것의 발생을 위한 조건입니다. 따라서 텍스트, 언어, 각종 커뮤니케이션적. 기호적 체계들은 다양한 유형의 기호로부터 만들어지는 이차적인 것이 됩니다. 반면에 소쉬르에게 근본적인 것은 모든 기호가 특정한 기호 체계의 부분이라는 사실입니다. 아무런 기호 체계에도 속하지 않는, 고립된 개별 기호는 원칙상 불가능합니다. 소쉬르의 기호학은 전체론적입니다. 즉 출발점이 되는 것은 기호 체계로서의 언어의 개념인바, 그것의 모든 부분 및 발현은 이차적인 것입니다.

 

 

p.18

 

  만일 이런 작업이 충분히 철저하게, 그리고 확장된 텍스트의 범위 내에서 수행될 경우, 최종적으로 해당 문화 유형에 속하는 텍스트 전체를 위한 불변체로 기능하는 모종의 텍스트-구성체text-konstruct를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이때, 그 밖의 모든 텍스트는 다양한 유형의 고하적 구조 속에서 불변체가 실현된 양태로 볼 수 있다. 이런 텍스트-구성체를 우리는 '문화 텍스트text kulturyi'라고 지칭할 것이다.

 

 3.2

 문화 텍스트는 해당 문화의 입장에서 파악된 현실의 가장 추상화된 모델이다. 고로 그것을 해당 문화의 세계상(kartinamira)으로 정의할 수 있다.

 

 

 

 

p.22

 

 4.1.1

 부동의 요소는 우주론적이고 지리학적이며 사회학적인 세계 구조를 특징짓는바, 즉 그것은 '주인공의 환경'이라는 개념으로 수렴될 수 있는 모든 것과 관련된다.

 

4.2.1

 반면 '주인공'은 텍스트의 움직이는 요소다.